B-52·핵잠수함 이어 B-2도 출격…美 ‘대북경고’

B-52·핵잠수함 이어 B-2도 출격…美 ‘대북경고’

입력 2013-03-28 00:00
업데이트 2013-03-28 1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핵위협 대비 전략무기 잇따라 공개’핵우산’ 과시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미군의 전략 무기가 속속 공개되고 있다.

미군은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한 실기동훈련(FTX)인 한미 연합 독수리(FE) 연습 때 전략폭격기인 B-52와 6천900t급 핵잠수함인 샤이엔(Cheyenne)이 참여한 사실을 이미 공개했다.

이어 28일에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로 불리는 B-2(스피릿) 2대가 한반도로 출격해 폭격 훈련을 한 사실이 확인됐다. B-2 스텔스 폭격기가 이날 오산 미공군기지 인근 상공을 비행하는 모습이 연합뉴스에 포착됐다.

이 폭격기는 스텔스 기능에 의해 적의 레이더 방공망에는 새처럼 작은 물체로 나타나 적을 기만시키는 위협적인 전략무기로 꼽힌다.

미군이 한미 연합훈련에 주요 전략무기를 잇달아 참여시키고 이를 노출시킨 것은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충분한 억제력을 갖췄다는 점을 알리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한국은 물론 미국 본토, 하와이, 괌 등을 겨냥한 도발 위협을 벌이는 북한에 대해 도발시 강력한 응징으로 대응한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 미국 미주리주 화이트맨 공군기지에서 이륙, 공중급유를 받고 1만500㎞ 이상을 날아 남한 상공에 도달한 B-2는 전북 군산 앞 서해상의 직도사격장에 훈련탄 투하 훈련을 하고 복귀했다.

미 공군의 주력 폭격기인 B-52를 대체하는 B-2는 1978년 개발계획이 수립된 이후 극비리에 개발이 진행되다가 1988년 4월 의회의 강력한 요구로 미 공군이 상상도를 공개한 바 있다.

미 공군의 태평양 전진기지인 괌의 앤더슨기지에는 2009년 3월부터 4대가 배치돼 기존 폭격기인 B-52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핵미사일 16발을 탑재할 수 있는 B-2는 B-52와 함께 핵위협에 대응해 한반도에 미측의 핵우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미측 핵우산의 3대 축으로는 전략폭격기가 보유한 공대지 핵미사일과 핵잠수함에 탑재된 잠대지핵미사일, 미 본토에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꼽을 수 있다.

이날 한반도 상공에서 이뤄진 B-2의 폭격 훈련에 앞서 또 다른 전략폭격기인 B-52도 이달 들어 3차례 이상 한반도로 날아와 폭격 훈련을 했다.

지난 8일, 19일, 25일에 B-52가 괌의 앤더슨공군기지에서 출격해 국내 한 사격장에 세워진 가상의 목표물을 타격하고 복귀한 것이 확인됐다.

B-52는 길이 48m, 너비 56.4m, 무게 221.35t에 최대 항속거리가 1만 6천㎞에 달한다. 사거리 200∼3천㎞의 공대지 핵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지난 20일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한 핵추진 잠수함인 샤이엔(Cheyenne)은 동해와 남해 일대에서 실시된 한미 연합 해상훈련에 참여했다.

미 7함대 소속으로 하와이 진주만이 모항인 샤이엔은 수직발사 순항미사일과 ‘잠수함 첨단전투시스템(SACS)’ 등으로 무장한 공격형 잠수함이다.

샤이엔은 핵미사일을 탑재한 잠수함은 아니지만 사거리 2천㎞가 넘는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을 갖추고 있어 원거리 잠대지 공격이 가능하다.

연합사의 한 관계자는 “미국은 한국에 핵우산과 재래식 전력 능력, 미사일방어 능력 등 모든 범주의 군사력을 포함한 확장억제력을 제공하기로 공약했다”면서 “B-52 폭격기와 핵잠수함, B-2 폭격기를 연이어 전개한 것은 이런 공약을 확인하고 동맹의 강력한 억제력을 과시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