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4국대사, 미·러는 외교관…중·일은 측근

주변 4국대사, 미·러는 외교관…중·일은 측근

입력 2013-03-31 00:00
업데이트 2013-03-31 1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과는 최상관계 유지 및 경제외교 포석 中과 관계발전, 日과 안정화, 러시아와는 유라시아협력 겨냥

박근혜 대통령이 출범 한 달여 만에 발표한 한반도 주변 4국의 대사 인선은 외교관 출신의 실무형과 정치권 출신의 정무형을 동시에 고려한 것으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대외정책의 핵심인 미국과의 관계를 책임지는 현장 사령탑으로 통상 전문가인 안호영 전 외교부 1차관을 내정한 것이 눈에 띈다. 특히 그동안 주미대사에는 외교부 장관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급을 보냈다는 점에서 이번 인사를 발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최영진(외시 6회) 주미대사의 후임인 안 전 차관은 외시 11회로 외시 10회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경기고 후배다.

정부 안팎에서는 안 전 차관의 내정에 대해 한미 양국이 비준한 지 1년이 된 자유무역협정(FTA)의 성공적인 이행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미관계가 최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현재의 관계를 잘 유지하면서 양국간 경제협력을 확대하겠다는 뜻이 담긴 인사라는 것이다.

안 내정자는 아그레망 절차를 가능한 한 조기에 마무리한 뒤 부임, 5월 상순으로 예정된 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간의 첫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준비할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한미 동맹 60주년이기도 해 지속적인 양국관계 발전 임무도 안 내정자에게 맡겨졌다.

정통 외교관 출신으로 러시아통인 위성락 주러시아 대사가 유임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분석된다.

2011년 11월부터 대사직을 수행한 위 대사는 지난 정부 때 남·북·러 협력사업에 대해 현장에서 실무를 챙겼다는 점에서 유라시아 지역과의 경제협력을 확대하겠다는 새 정부의 방침을 실현하는데도 적합한 인사로 평가된다.

미국, 러시아와 달리 중국과 일본대사로는 박 대통령의 측근 인사를 배치해 관계 강화 의지를 드러냈다.

새 정부는 북한의 우방인 중국과 전략적인 소통을 강화한다는 방침으로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아는 중량급 인사를 내정한 것은 이런 ‘미션’을 위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주중대사로 임명된 권영세 전 의원은 ‘신(新) 친박’ 핵심으로 꼽히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양국관계 안정화라는 과제가 이병기 주일대사 내정의 핵심 코드로 보인다.

지난해 8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과거사·영토 문제로 양국의 외교가 사실상 비정상적인 상황에 놓여 있는 만큼 이를 정상화하려면 대통령과 가까운 정무형 인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다.

이밖에 김숙 주유엔 대사가 유임된 것은 실무적인 고려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이사국으로 우리나라가 현재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업무를 잘 아는 김 대사에게 계속 일을 맡긴 것이란 분석에서다.

한 정부 소식통은 31일 “한반도 주변 4국에 대한 외교적 목표에 따라 정무·실무형 인사가 적절히 배치된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