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 동맹 60주년 공동선언 채택 계획

한미정상, 동맹 60주년 공동선언 채택 계획

입력 2013-05-03 00:00
업데이트 2013-05-03 1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정상이 오는 7일(미국시간) 백악관에서 열리는 첫 정상회담에서 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을 채택한다.

윤창중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양국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동맹 60주년에 맞춰 새로운 양국 관계의 미래발전 방향에 대한 공동선언, 다시 말해 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 채택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은 2009년 동맹미래비전을 넘어 향후 수십년을 내다보는 양국 관계 발전방향에 대한 핵심 요소들을 포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이번 방미 의미에 대해 “방미는 취임 후 첫번째 해외 방문으로 올해 60주년이 되는 한미간 포괄적 전략 동맹 관계의 향후 발전 방향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특히 “양국 정상간 신뢰구축을 통해 공고한 동맹관계의 지속적 발전을 견인해 나가는 한편 향후 4년을 함께 할 두 나라 행정부 간에 정책 협력의 수준과 내용을 격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엄중한 한반도 안보 상황에서 미국과 북핵을 비롯한 북한 문제에 대한 공조를 강화하고 대한민국의 신뢰 외교와 주요 정책에 대한 미국 측의 이해와 지지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윤 대변인의 이런 설명에 비춰보면 한미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도발위협 등 한반도 안보위기 속에 현재 포괄적 전략동맹을 명실상부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발전시키는데 합의할 전망이다.

이는 북한 문제를 비롯한 안보 뿐 아니라 경제, 기후변화 등 글로벌 과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부분에서 양국의 지속가능한 협력방안의 틀을 구축한다는 의미를 갖도록 한다는 것이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양국 정상은 다각적 외교채널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한 박 대통령의 대북기조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해 이해를 같이하는 한편으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 개성공단의 잠정폐쇄 등 최대 안보현안에 대해 ‘잘못에는 보상없다’는 원칙적 대응기조의 한 목소리를 낼 전망이다.

또 두 정상은 북한의 최근 도발위협과 3차 핵실험과 관련, 북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확고히하면서 이 문제에 대한 국제제재안이 충실히 이행돼야 한다데 합의할 것이라고 정부 관계자들은 내다봤다.

이와 함께 두 정상은 한미 FTA의 원활한 이행 등 경제통상의 협력증진 방안과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기후변화와 개발협력 등 주요 글로벌 어젠다에 대한 파트너십 강화 방안도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윤 대변인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이번 5∼10일 방미기간 7일 오바마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

5일 뉴욕에 도착해 동포간담회를 갖는데 이어 6일 유엔본부를 방문해 반기문 사무총장을 만나고 유엔에 근무하는 한국인 직원들을 격려한다. 또 이날 워싱턴으로 이동해 알링턴 국립묘지와 한국전 참전기념비에 헌화하고 다음날 한미동맹 60주년 기념만찬 행사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7일 백악관 정상회담과 오찬에 이어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김용 세계은행 총재와 면담한다. 8일에는 미국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하는데 이어 미 상공회의소 주최 라운드테이블 오찬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의 의회 연설은 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에 이어 1년 6개월만이며 같은 나라 정상이 연이어 미 의회에서 연설한 사례는 1945년 이래 처음있는 일이라고 윤 대변인은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8일 오후 로스앤젤레스로 옮기며 9일 창조경제와 관련해 리더간담회를 갖고 비아라이로사 LA 시장 주최 오찬에 참석한 뒤 귀국길에 오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