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중 파문] 무능력한 정무… 새 인물 영입? 군기 빠진 靑… 기강 확립 나서

[윤창중 파문] 무능력한 정무… 새 인물 영입? 군기 빠진 靑… 기강 확립 나서

입력 2013-05-14 00:00
업데이트 2013-05-14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기관리시스템 재정비 어떻게

청와대가 이번 미국 방문 일정 전부를 ‘복기’한 뒤 매뉴얼을 만들기로 했다. 청와대는 13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직후 허태열 비서실장 주재로 다시 수석비서관회의를 연 뒤 이같이 결정했다. 복기의 대상은 세부 업무에서 담당자들은 어떤 일을 했는지, 문제에 적절히 대응했는지 등 ‘모든 일의 과정’이다. ‘윤창중 성추행 파문’을 계기로 문제가 드러난 위기관리시스템에 대한 재정비에 나선 셈이다. 매뉴얼이 마련되면 당장 6월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서부터 적용될 전망이다.

이번 일의 문제점은 크게 ‘근무 기강’과 ‘위기 관리 대응’ 부분으로 나뉜다. 근무 기강에서는 1차적으로 고위 공직자가 대통령의 순방기간에 장시간 음주를 한 것과 이를 걸러낼 만한 관리 체계가 없었던 것이 주요한 문제로 지적된다. 실제로 민정수석실 공직비서관실은 ‘윤창중 전 대변인의 음주사실을 왜 파악하지 못했는지’, ‘여성 인턴과의 부적절한 자리가 생길 가능성을 미리 감지할 수는 없었는지’, ‘윤 전 대변인의 잘못을 중간에 차단할 수는 없었는지’ 등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매뉴얼이 완성되면 직원 간 상호 점검을 통한 ‘사고 예방 시스템’이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근무기강의 문제는 이날 허태열 비서실장이 특단의 대책을 지시한 만큼, 어떤 방식으로든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문제는 두 번째, 즉 ‘위기 관리 대응’을 위한 능력 배양의 문제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대응만 제대로 했어도 일을 이처럼 키우지 않았을 것이며, 그 같은 기회가 최소 한두 차례는 있었다”는 아쉬움이 제기되면서 전반적인 ‘정무 능력’에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하다못해 로스앤젤레스에서 한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에서의 13시간 동안 무얼 했는지가 궁금하다’는 말까지 나온다. 귀국이전 변변한 대책회의가 있었다면, 적어도 대국민 사과의 타이밍은 놓치지 않았을 것이라는 자탄에서다.

나아가 ‘외교적으로는 걱정 없다’는 점을 윤병세 외교장관이 직접 나서 언급한 점, ‘귀국 지시는 법적으로 문제 없다’며 곽상도 청와대 민정수석이 나선 시점, 이남기 홍보수석이 귀국 직후 잘 기억하지 못한다고 한 점 등은 전체적으로 대응에 미숙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들로 꼽힌다.

한편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진보정의당 천호선 최고위원은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번 사건이 직접적으로 박 대통령의 불통인사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무리지만, 윤창중 개인의 문제로 축소하는 것도 문제”라면서 “대통령은 인사를 되짚어볼 계기로 삼아야 하고, 청와대는 최대한 빨리 진실을 밝히고, 최대한 사과하고 조속히 재정비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조언했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3-05-14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