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새 항로 뜨거운 북극 쟁탈전… 한국 ‘공식 입장권’ 얻었다

자원·새 항로 뜨거운 북극 쟁탈전… 한국 ‘공식 입장권’ 얻었다

입력 2013-05-16 00:00
업데이트 2013-05-16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극이사회’ 회원국 만장일치로 정식 옵서버 자격 획득

한국이 15일 북극 개발을 주도하는 국제기구인 북극이사회의 정식 옵서버 자격 획득에 성공하며 북극권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2002년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뉘올레순에 다산과학기지를 세우며 북극 연구의 첫발을 내디딘 지 12년 만이다.

북극이사회는 이날 스웨덴 키루나에서 각료회의를 열고 만장일치로 한국을 포함해 중국, 일본, 인도 등 6개 나라의 정식 옵서버 지위 신청을 승인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정식 옵서버 자격을 획득하면 북극 개발과 관련된 북극 이사회의 정책결정에 의견을 개진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활동이 가능해진다. 천연자원의 보고이자 꿈의 항로가 열리는 북극권을 둘러싼 북극이사회 회원국들의 치열한 싸움에 뛰어들 자격을 얻은 셈이다.

북극이사회는 북극 정책에 대해 유일하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부 간 포럼으로, 의장국인 캐나다를 비롯해 미국, 러시아,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등 8개국이 회원국으로 포진해 있다. 한국은 2008년 임시 옵서버 지위를 얻었지만 초청 없이는 북극이사회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고 발언권도 얻지 못하는 등 활동에 제약을 받아왔다. 따라서 한국은 북극 연구 및 항로 개척을 위한 필수적 요건인 정식 옵서버 자격 획득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북극 항로와 북극해 개발 참여는 박근혜 정부의 140대 국정과제 가운데 13번째 과제이기도 하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북극에는 원유 900억 배럴, 천연가스 1669조㎥, 액화천연가스 440억 배럴이 매장돼 있다. 전 세계 원유 매장량의 4분의1, 전 세계 천연가스 매장량의 45%를 차지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환경오염 문제로 북극에서 석유를 가져오는 것은 어렵지만, 지속 가능한 개발의 측면에서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보다 더 매력적인 것은 북극해 항로의 이용이다.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빙하가 빠른 속도로 녹으면서 수에즈 운하 대신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북극해 항로가 경제적 이점을 갖춘 새로운 국제물류 루트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2025년쯤 얼음이 녹아 쇄빙선 없이 북극항로의 해상루트 이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산항을 출발, 수에즈 운하를 거쳐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가려면 24일(2만 100㎞)이 소요되지만 북극해 항로를 통하면 14일(1만 2700㎞)로 줄어든다. 해적 출몰 위험이 없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본도 1990년대 초반부터 북극항로 개척을 위해 러시아, 노르웨이와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외교부 당국자는 “앞으로 북극 항로를 지날 때의 규범 등이 북극이사회에서 활발하게 논의될 것”이라면서 “규범을 만들고 점검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에 유리하도록 의견을 개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5-16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