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부 ‘미니 중수부’ 첫 타깃은 ‘MB 4대강’… 대형 게이트 조짐

朴정부 ‘미니 중수부’ 첫 타깃은 ‘MB 4대강’… 대형 게이트 조짐

입력 2013-05-16 00:00
업데이트 2013-05-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檢, 담합 의혹 건설사 30여곳 전격 압수수색 의미는

이미지 확대
서울중앙지검이 15일 이명박 정부 핵심 국책사업이던 ‘4대강 사업’의 건설 공사 비리와 관련, 건설업체 30여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압수수색이 진행된 서울 종로구 계동 현대건설 본사.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이 15일 이명박 정부 핵심 국책사업이던 ‘4대강 사업’의 건설 공사 비리와 관련, 건설업체 30여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압수수색이 진행된 서울 종로구 계동 현대건설 본사.
연합뉴스
대형 권력형 비리를 수사해온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의 축소판으로 불리는 서울중앙지검 특수부가 4대강 비리 의혹에 대해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건설사들의 입찰 담합 의혹이 수사 초점이라고 내세우고 있지만 검찰 안팎에서는 정·재계 비리 등 대형 게이트로 비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검찰은 15일 현대건설, 삼성물산(건설부문), GS건설, SK건설, 포스코건설 등 대형 건설업체·설계업체 30여곳을 전격 압수수색하며 4대강 비리 수사의 포문을 열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토대로 건설사 대표 등 관련자들을 소환할 방침이어서 국정감사 불출석 혐의로 고발됐던 유통 재벌 2세들의 줄소환에 이어 건설사 대표들도 잇따라 소환되는 진풍경이 연출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4대강 비리 수사와 관련해 일단 수사 목표를 ‘입찰 담합의혹’이라고 못 박고 있다. 검찰은 “형사부에서 담합의혹을 계속 검토해 왔고, 담합의혹 사안이 커 이것부터 먼저 수사하는 것”이라면서 “구체적인 자료가 확보되면 새롭게 수사 착수 여부를 검토할 것이지만 현재는 담합 입증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검찰 내에서조차 ‘대형 게이트’로 번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검찰 고위 관계자는 “특수부가 나선 만큼 입찰 담합의혹 수사로만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비자금 조성 경위, 출처, 용처 등을 수사하면서 정·재계 연루 등 대형 커넥션을 파헤치는 게 최종 목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검찰도 “압수물을 분석하면서 돈의 흐름도 차분히 볼 것이다. 지금은 입찰 담합의혹을 수사하는 단계지만 향후 수사 대상이나 사안이 커지면 전담팀을 꾸릴 수도 있다”고 밝혀, 검찰 수사 과정에서 건설사들의 횡령, 비자금의 출처·용처가 드러나면 정·재계 등에 메가톤급 태풍이 몰아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건설업계에서는 공사대금을 고의로 과다하게 책정해 전액 집행하지 않고 일부를 빼돌리거나 하청에 다시 재하청을 주는 구조를 통해 하청업체들에 부풀린 공사대금을 지급하고 현금으로 되돌려받는 방식 등을 통해 비자금을 조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검찰이 수사 중인 현대건설은 전·현직 임원 12명이 4대강 사업을 하며 한강6공구에서만 50억원 규모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대우건설은 칠곡보 공사과정에서 하도급 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아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대검 중수부 1, 2과장이었던 여환섭 특수1부장, 윤대진 특수2부장이 수사를 맡은 점도 심상치 않다. 두 사람은 중수1, 2과장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 친형인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 박영준 전 국무총리실 차관 등 권력 실세들을 줄줄이 구속하는 등 권력 비리 수사에 강점을 보여 왔다. 한 재경지검 관계자는 “중수부 폐지 이후 중수부 핵심 인사들이 중앙지검 특수부로 그대로 옮겨 왔다”면서 “앞으로 특수부가 중수부 기능을 대체하게 되는 만큼 향후 4대강 관련 판도라 상자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이 30여곳에 이르는 건설·설계 업체를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한 점도 이례적이다. 한 검찰 인사는 “그동안 계좌추적, 자료 분석 등을 통해 담합의혹 외에 ‘다른 카드’를 확보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