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서울 장관급회담’ 그대로 성사될까

‘12일 서울 장관급회담’ 그대로 성사될까

입력 2013-06-07 00:00
업데이트 2013-06-07 1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날짜·장소는 유동적…실무접촉 여부 주목

정부가 오는 12일 서울에서 남북 장관급회담 개최를 제의한 데 대해 북한이 개성에서 9일 먼저 실무접촉을 하자고 제의하고 나섬에 따라 장관급회담이 우리 생각대로 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단 정부는 북한의 7일 제안에 대해 내부적인 검토를 통해 입장을 결정한 뒤 북한이 요구한대로 이날 중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보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의 실무접촉 제안 수용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면서 “정부 내에서 북한의 제안에 대한 내부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 입장이 결정되는 대로 공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일단 북한이 실무접촉을 제안한 만큼 9일 개성에서의 접촉을 수용할 수도 있고, 실무접촉에서 논의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들어 12일 장관급 회담을 바로 개최하자며 북한의 제안을 거부할 개연성도 있다.

그러나 북한의 제안을 거부하는 것은 장관급회담을 먼저 제안한 정부로서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우리가 제안한 장관급 회담을 거부한 것이 아니라 이를 전제로 받아들이면서도 수년간 중단됐으니 실무접촉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한 것”이라면서 “어렵지만 남북이 함께 갈 수 있는 길로 가도록 지금까지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북한의 제안을 받아들여 9일 개성에서 남북 실무급 관료들이 만나더라도 12일 장관급 회담이 성사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있다.

남북간 실무접촉이 이뤄지더라도 입장 차이가 현격할 경우 장관급 회담으로까지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다만 어렵게 무르익은 남북 대화의 분위기 속에서 양측이 성과와는 무관하게 어떻게든 장관급회담 자체는 성사시키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12일 남북 장관급회담을 제의한 데 대해 북한이 9일 개성에서의 실무접촉 카드로 맞서는 것을 두고 회담 성사에는 공감대가 있는 가운데 주도권을 쥐기 위한 기싸움을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