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신통상 로드맵 발표
정부가 성과 중심이 아니라 국내 산업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통상정책의 새판을 짰다.지금까지 자유무역협정(FTA)을 맺는 데만 치중해 왔다면 산업과 통상의 연계를 강화해 앞으로는 FTA가 국내 산업계를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새 정부에서 통상 교섭·이행, 국내 대책 마련을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담함에 따라 통상정책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 정부의 신(新)통상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은 ▲국제 통상질서 재편에 선제 대응 ▲산업·자원 협력과 연계 ▲국내정책과의 연계 강화로 성과의 국내 공유 확대 ▲소통과 협업을 통한 통상정책 추진 기반 확충 등 4가지 핵심 과제를 담았다. 우선 기존의 개방형 통상정책 기조는 유지하되 산업과 통상의 연계를 강화한다. 지금까지 한국은 동시다발적 FTA를 추진한 결과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60%에 해당하는 지역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교섭 성과에 치중한 나머지 해외 판로 등 실질적인 도움을 줄 만한 후속 조치가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FTA가 체결됐지만 정작 수출 중소기업은 활용할 방도를 찾지 못해 수출 전선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청년과 퇴직 인력이 해외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또한 대외 통상정책 변화에 대응해 동아시아 지역경제 통합에 있어서 핵심 축 역할을 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중국·아세안 주도의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에 임하는 동시에 미국이 주도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는 다자 협정 대응 전략을 짰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06-15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