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사건 처리가 신임·반발 분기점

국정원 사건 처리가 신임·반발 분기점

입력 2013-10-28 00:00
업데이트 2013-10-2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부 장악력 있어 조직 잘 추스를 것” vs “예상된 결과… 檢, 권력에 휘둘릴 것”

김진태 전 대검찰청 차장이 27일 차기 검찰총장 후보자로 낙점되자 검찰 내부에서는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교차했다. 그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검찰총장에 취임한다면 국가정보원 대선·정치 개입 사건을 어떤 식으로 처리하느냐가 검찰 내 신임과 반발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검찰 내부에서는 “예상된 결과다. 검찰이 권력에 휘둘릴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와 “지난해 한상대 전 검찰총장 퇴진 후에 총장 대행을 맡아 조직을 잘 추슬렀다”며 기대하는 목소리가 극명하게 갈렸다. 그만큼 현재 검찰 조직 내부의 갈등이 심각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검찰 간부 A씨는 “경험이나 실력에 비춰 봤을 때 적합하다는 말도 있지만 채동욱 전 총장이 지명됐을 때보다는 내부 분위기가 어두운 건 사실”이라며 “검찰의 가장 큰 문제가 수사와 관련한 정치적 독립인데 이게 지켜지지 않을 것 같아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B씨는 “청와대가 김 전 차장을 총장에 지명한 명분은 ‘공안통’이 아니라는 것 하나뿐”이라며 “검찰 내 신망이 높은 사람들을 총장 후보 들러리로 내세웠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전 차장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같은 부산·경남(PK) 출신이라는 점에 대한 우려가 두드러졌다. C씨는 “김 비서실장과 김 전 차장이 막역한 관계라는 건 주지의 사실”이라며 “김 전 차장이 청와대가 검찰을 통제하는 통로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내분으로 위기에 몰렸던 검찰의 ‘구원투수’ 역할을 할 것이라는 반응도 나왔다. D씨는 “조직장악력이 있는 만큼 내부 분위기를 추스를 수 있는 적임자”라고 말했다. E씨는 “지난해 검찰총장 직무를 수행하면서 검찰 내부의 위기를 잘 추슬렀다”면서 “내부 갈등을 잘 봉합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검찰 안팎에서는 “김 후보자가 차기 검찰총장이 된다면 국정원 대선·정치 개입 사건 처리가 총장 신임을 묻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F씨는 “김 전 차장의 최대 당면 과제는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 처리가 될 것”이라며 “그걸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김 전 차장을 믿고 함께 가거나 아니면 반발 여론이 확산되며 검찰이 또다시 내분에 휩싸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3-10-28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