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신야권연대 첫 액션은 장외투쟁

막 오른 신야권연대 첫 액션은 장외투쟁

입력 2013-11-08 00:00
업데이트 2013-11-08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정의·안철수·시민단체 12일 ‘연석회의’ 공식 출범

‘신(新)야권연대’가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 민주당과 정의당, 안철수 무소속 의원 진영은 물론 시민사회단체까지 포괄하는 범야권 모임이다. 통합진보당은 빠졌다. ‘국가기관 선거 개입 진상규명과 민주헌정질서 회복을 위한 시민사회·종교계 연석회의’가 오는 12일 출범한다.

안 의원을 제외한 연석회의 참여 세력은 공식 출범에 앞서 9일 서울광장에서 ‘국가기관 총체적 대선 개입 규탄 및 국정원 개혁 촉구 9차 국민결의대회’를 열어 세를 과시할 예정이다. 야권연대 부활 뒤 첫 장외투쟁으로, 야권연대의 파괴력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안 의원은 7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강당에서 특강을 마친 뒤 “조직을 만들고 그러는 것이 아니라 사안 해결에 도움이 된다면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사안별 동참 의사를 밝힌 뒤 장외투쟁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생각이 없다”고 일축했다.

연석회의는 진보당과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계획이다. 야권 내에서 진보당은 이미 지난해 5월 경선 부정 파문 이후 연대 대상에서 빠져 있었다. 이석기 진보당 의원이 내란음모 혐의로 구속된 이후 ‘종북 논란’이 거세게 몰아치면서 야권의 ‘진보당 거리두기’ 분위기가 더욱 굳어졌다. 민주당 등 야권은 정부의 진보당 해산심판 청구를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도 진보당을 향해서도 “정체성을 분명히 밝히라”며 압박하고 있다. 야권의 한 관계자는 이날 “새누리당에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기 때문에 9일 집회에 진보당 인사들이 합류하지 않을까 부담스럽다”고 토로했다.

한편 전면적인 장외투쟁에 돌입한 진보당은 이날도 대정부 규탄 시위 등을 통해 투쟁의 강도를 높였다. 구속된 이 의원을 제외한 소속 의원 전원이 전날 삭발과 함께 단식농성을 시작한 데 이어 이날 소속 지방의원들이 삼보일배에 나서는 등 장외투쟁을 이어갔다. 진보당 소속 구청장 2명, 기초의원 115명은 이날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정당해산 심판청구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집단 삭발했다. 이들은 이어 서울광장을 출발해 헌법재판소까지 2㎞ 정도를 삼보일배했다. 저녁에는 청계광장에서 3일째 촛불집회를 열었다.

김효섭 기자 newworld@seoul.co.kr

2013-11-08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