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회견중계> ⑫지역문화발전 정책

<朴대통령 회견중계> ⑫지역문화발전 정책

입력 2014-01-06 00:00
업데이트 2014-01-06 1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지역의 문화 소외현상이 심화되고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과의 문화 격차도 커지는 것이 현실이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융성을 위한 실질적 정책을 말해달라. 낙후 지역의 문화발전을 위한 구체적 복안도 밝혀달라.

▲ 문화야말로 우리가 가진 가장 소중한 자산이고 우리나라의 자존심이기도 하다. 문화는 우리가 세계인과 함께 호흡하고 하나가 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제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문화융성을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택했고 지난 1년간 그 토대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지난 1년간 대통령 직속으로 문화융성위원회를 구성해 인문정신문화 진흥이나 지역문화 자생력 강화 등을 포함한 8대 과제를 발표했고, 문화예술계의 숙원이었던 문화기본법을 비롯한 핵심 법률 4개도 다 국회를 통과해 제정을 마쳤다.

올해는 지난해 마련한 것을 토대로 국민과 예술인이 더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시행하려고 한다.

생활 속에 문화가 확산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매월 마지막 수요일을 ‘문화가 있는 날’로 정해 국민이 공연이나 전시회 등을 무료로, 또는 할인해서 관람할 수 있게 지원할 것이다.

문화예술인의 창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예술 창작공간을 더 확충하고 창작 활동 지원제도를 강화해 나갈 것이고 예술인복지도 더 개선해 나가겠다.

케이팝(K-Pop)이나 우리나라의 영화 등 문화 콘텐츠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아주 크게 성장할 가능성 갖고 있다.

문화 콘텐츠에 대한 투·융자 지원을 강화하고 창작자들이 장르를 넘나들며 사업화 할 수 있도록 ‘콘텐츠 코리아랩’이라고 이름 붙인 창작 지원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구성된 문화 융성위원회가 부산, 광주 등 전국을 돌면서 지역문화정책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했고, 지역 문화예술인이나 주민들로부터 문화융성을 위한 의견을 수렴했다.

금년에는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며 지역문화예술진흥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고 지역에 있는 전문예술단체를 좀 더 육성해 이 단체가 지역문화 활성화의 중심이 되도록 하겠다.

문화를 바탕으로 지역 브랜드를 형성하고 그것이 문화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되도록 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