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쌀직불금 1㏊당 100만원…10만원 인상 합의

당정, 쌀직불금 1㏊당 100만원…10만원 인상 합의

입력 2014-09-05 00:00
업데이트 2014-09-05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어민 정책자금 금리도 0.5∼2% 포인트 인하

정부와 새누리당은 쌀관세화에 대한 대책으로 5일 쌀고정직불금을 1ha 9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10만원 인상하기로 했다.

당정은 이날 국회에서 새누리당 주호영 정책위의장, 정부에서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를 열어 이같이 합의했다.

주 정책위의장은 당정협의 직후 기자 브리핑에서 “쌀관세화에 대한 농민의 우려를 조금이나마 덜고, 농가 소득을 증대하기 위해 쌀직불금을 인상키로 했다”면서 “쌀관세화에 대비해 세계무역기구(WTO)가 허용하는 최고율의 관세를 부가토록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고 말했다.

주 정책위의장은 “쌀고정직불금 인상은 우리 당의 대선공약이기도 한 것으로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당정은 쌀고정직불금 인상을 위해 내년 예산에 845억원을 반영하기로 했으며, 전체 농가의 약 60%인 77만1천 가구가 혜택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동계 논 이모작 직불금은 현행 1ha 당 40만원에서 내년에는 50만원으로 10만원 인상해 151억원의 예산을 반영키로 했다.

이어 당정은 11개 농어민 정책자금 금리도 0.5∼2% 포인트 인하키로 했다.

부분별로 농·수산업 경영회생자금은 3%에서 1%로, 농기계구입자금은 3%에서 2.5%, 후계어업인육성자금은 3%에서 2% 등으로 각각 인하한다.

이에 따라 60여만 농가에 약 224억원의 경영비 부담이 줄게 된다.

당정은 또 낙후지역의 상수도 교체사업도 중앙 정부에서 일부 지원키로 했다.

다만 지자체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정자립도 30%, 유수율 70% 이하인 강원 철원, 경기 연천, 전북 남원, 경북 성주, 경남 합천, 충북 영동 등 33개 지역에 우선 국고를 지원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