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중대별 수신용 공용휴대전화’ 시범운용

軍, ‘중대별 수신용 공용휴대전화’ 시범운용

입력 2014-09-14 00:00
업데이트 2014-09-14 17: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5사단 1대대 계급별 생활관에 1대씩 지급

국방부는 육군 25사단 1대대를 대상으로 ‘중대별 수신용 공용휴대전화’를 시범운용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25사단 1대대 예하 3개 중대에서 중대당 수신용 휴대전화 4대를 지난 5일부터 운용하고 있다”며 “각 중대의 계급별 생활관에 1대씩 지급, 일과시간이 아닐 때 공용으로 사용토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지난 10일까지 엿새간의 수신용 공용휴대전화 사용실적은 165건으로, 계급별로는 이병이 75건(46%), 일병이 37건(22%), 상병이 24건(15%), 병장이 29건(17%)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2세대(2G)폰인 수신용 공용휴대전화를 시범운용한 뒤 설치재원 확보와 보안대책 등을 고려, 전 부대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군 당국은 전 부대에 중대 단위로 2대씩 설치된 수신용 유선전화도 25사단 1대대에선 중대당 5대로 늘려 시범운용하고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달부터 시행된 부대개방 행사에는 전방 군단별로 예하부대의 32∼46%가 참여하고 있다.

병영 내 고립감 해소를 위해 추진된 인터넷 카페 개설에는 전방 사단 예하 연대급 부대의 90%, 밴드와 카카오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개설에는 전방 사단 예하 중대급 이하 부대의 99%가 참여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SNS에는 중·소대장, 부사관, 병사, 부모님 등이 한 그룹으로 설정돼 부대지휘에 제한이 없는 범위에서 소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시설이 노후화된 해체 및 이전 예정 육군 부대의 생활관 리모델링도 적극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이 관계자는 “해체 및 이전 예정 대대급 부대 중 올해 68곳, 내년에 10곳을 리모델링하게 된다”며 “이 밖에도 육군 22사단과 28사단은 긴급소요로 반영, 대대급 부대 5곳의 생활관 25동을 내년에 리모델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