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옥 “외고 졸업생 3명중 1명만 어문계열 진학”

윤재옥 “외고 졸업생 3명중 1명만 어문계열 진학”

입력 2014-09-16 00:00
업데이트 2014-09-16 05: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당 윤재옥 의원은 16일 “최근 4년간 외국어고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한 신입생 중 어문계열 전공을 선택한 비율이 졸업생의 30.9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윤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외고 당해졸업생의 대학 계열별 진학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1학년도부터 2014학년도 사이 대학진학생 중 법학계열 등 비어문계열 진학자가 49.8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이공계열 진학생은 7.76%였고, 의학계열 진학생도 1.84%로 조사됐다.

그동안 외국어고가 입시 학원으로 변질됐고 어문계열 진학률이 낮다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자, 옛 교육과학기술부(교육부)는 2011년부터 외국어고는 영어 내신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도록 했다. 또 한 학급당 인원수를 25명으로 제한하고, 영어와 전공외국어 전문교과 단위 수를 최소 80단위 이상 편성토록 했다.

이에 더해 기존의 외국어고에 외고로서의 존립, 국제고 및 자사고로의 전환, 일반계 고교로의 전환 등 4가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했으며 그 결과 일부 외고는 자율형 사립고, 일반계 고교로 전환되기도 했다.

현재 외고는 2014년 기준 전국에 31개교가 있으며 2014년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총 7천574명의 졸업생이 배출됐다.

김 의원은 “이제 외국어고는 설립취지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 입시목적고로 전락하고 있다”며 “각종 특수목적고교들이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되고 설립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지 점검해 구조조정 등 개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