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친이계, 사자방 국조 거론에 ‘부글부글’

與친이계, 사자방 국조 거론에 ‘부글부글’

입력 2014-11-06 00:00
업데이트 2014-11-06 15: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박 지도부 ‘검토’ 방침에 반발…계파 갈등 재연 우려조해진 “4대강 국조 용납못해…수용시 연금개혁 동력상실”

친박(친박근혜) 성향의 새누리당 원내 지도부가 야당의 ‘사자방(4대강·자원외교·방산비리) 국정조사’ 요구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자 당내 친이(친이명박)계 의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4대강과 자원 외교는 전임 이명박 정부에서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됐던 사업들로, 이들 사업에 대한 국조를 여당이 수용한다는 것은 여권 스스로 정권 연장의 정통성과 연계성을 부정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아직 공개적으로 친박 측에 문제 제기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친이계 의원들은 상당한 불쾌감을 표하며 폭발 직전의 분위기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친이계는 원내 지도부가 국조 검토 방침을 철회하지 않는다면 실제 ‘액션’에 나설 수도 있다는 방침이어서 오랜만에 당내 계파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당내 친박 주류의 영향력이 정권 초기보다 적잖이 쇠퇴한 상태에서 친이계 측이 실제 행동에 나설 경우 파장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친이계는 ‘사자방 국조-연금 개혁 빅딜설’과 관련해서는 국조가 수용되면 당내 분열로 말미암아 박근혜 대통령이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지목한 공무원 연금 개혁이 오히려 요원해질 것이란 점을 경고하고 있다.

특히 전임 정부가 ‘치적’임을 자부하는 4대강 국조에 대한 친이계의 반감이 가장 크다.

친이계 핵심 중 하나인 조해진 의원은 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4대강은 성공한 사업으로 18대 국회 시절 4년 내내 환경노동위에서 사업을 훼손하려는 야당과 맞서 싸웠다”면서 “그런데 여당이 국조를 받아준다면 여권 전체가 야당 주장에 동조해 4대강을 실패한 사업으로 규정짓는 것인 만큼 우리로서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또 “야당의 잘못된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공무원 연금 개혁 실현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당에서 내부 분열이 일어나 오히려 연금개혁 추진이 더 동력을 잃을 수 있다”면서 “그 점을 지도부가 충분히 고려할 것으로 믿기 때문에 공개 행동을 자제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4대강 국조를 실제 실시할 경우 야당은 ‘4대강 전도사’였던 이재오 의원과 4대강 사업 추진 당시 특임장관과 충남지사였던 주호영 정책위의장, 이완구 원내대표 등 현직 지도부들도 대거 증인으로 신청할 공산이 커 현실적으로도 정치적 부담이 있다.

이재오 의원은 사자방 국조 문제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이 의원은 이날 T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사자방 국조에 대한 견해를 묻자 “지금 말할 단계가 아니다”라고만 답했다.

4대강에 비해서는 친이계의 반발이 비교적 작은 자원외교 국조는 친박계도 큰 걸림돌이 있다.

친박 주류의 핵심 중 핵심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전임 정부에서 주무 장관으로 자원 외교 업무를 수행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결국 여당이 야당의 3대 국조 요구 중 정치적 부담이 거의 없는 방위산업 비리 국조만 수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다만 해외 자원 개발 문제는 이명박 정부뿐 아니라 전임 노무현·김대중 정부에서도 여러 차례 실패한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4대강만 제외하고 자원외교·방산비리 국조가 열릴 것이란 전망도 만만치 않다.

한 친이계 인사는 “청와대나 친박 측이 야당의 ‘이간계’에 속아 소탐대실한다면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