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대학 동기동창, 방산비리 척결 총대멘다

朴대통령 대학 동기동창, 방산비리 척결 총대멘다

입력 2014-11-18 00:00
업데이트 2014-11-18 1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전처 등 정무직 인사에 軍·성대 출신 약진 눈길서울·경기 4명, TK·충청 3명씩…평균연령 57세에 여성은 없어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른 국민안전처·인사혁신처 신설과 기존 공직자의 사퇴·공석·임기만료에 따라 단행한 정무직 인사에서는 신임 방사청장 내정자가 박 대통령과 서강대 전자공학과 동기동창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또한 군인 출신과 성균관대 출신의 약진이 이번에도 재연됐다.

박 대통령의 이날 정무직 인사 발표 내용을 보면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적 재난안전시스템을 총괄할 기구로 신설된 국민안전처 장관과 차관은 모두 군인 출신이 내정됐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 내정자는 해군 제3함대 사령관과 교육사령관, 작전사령관을 거쳐 해군 대장으로 합참차장까지 역임한 인물.

국민안전처 차관 내정자인 이성호 안전행정부 2차관도 3성 장군 출신으로 육군 3군단장과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국방대학교 총장을 거쳤다.

대형 재난·재해의 컨트롤타워를 군 출신이 장악하게 된 셈이다. 그동안 외교·안보 컨트롤타워인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 군인 출신을 발탁해온데 이어 안전 분야 사령탑도 군인 출신에게 맡긴 것.

이는 대형 재난·재해가 발생했을 때는 골든타임을 지킬 수 있는 초기대응이 가장 중요한 만큼 체계적인 지휘체계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조직 생활에 익숙한 군인 출신이 유리하다는 판단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 박 장관과 이 차관 내정자 모두 작전·전술 분야 전문가라는 점에서 재난·재해 발생시 국민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치밀한 작전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도 감안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장관과 차관을 모두 군 출신으로 배치해 특정 분야 출신에 편향됐다는 점, 정책의 입안 및 집행과정에서의 유연성 이 부족할 수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 산하 조직의 수장인 중앙소방본부장(옛 소방방재청장)과 해양경비안전본부장(옛 해경청장)도 모두 소방관과 경찰관 출신으로 상명하복이 뚜렷한 계급 조직에 몸담아온 인사들이어서 자칫 조직 자체가 경직되고 소통이 제대로 안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현 정부 들어 꾸준히 중용돼 온 성균관대 출신이 이번 장·차관급 11명의 인사에 2명이나 포함됐다. 신임 인사혁신처장에 내정된 이근면 삼성광통신 경영고문과 통일부 차관에 내정된 황부기 통일부 기획조정실장이 그들이다.

성대뿐 아니라 고려대 출신도 정재찬 공정위원장 내정자와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 내정자 등 2명이었고, 나머지는 해사, 육사, 대구대, 동국대, 서강대, 한양대, 단국대 등 1명씩이었다.

특히 서강대 출신으로 신임 방사청장에 내정된 장명진 국방과학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박 대통령과 서강대 전자공학과에 지난 1970년에 함께 입학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학 동기동창으로 대학생 시절 박 대통령과 함께 수업을 들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박 대통령과 그동안 어떤 인연을 가져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대학교 클래스메이트에게 최근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방산비리 척결을 위한 중차대한 업무를 맡기 셈이 된다.

이밖에 이번 인사로 내정된 장·차관급 11명의 출신지를 보면 서울·경기가 4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경북(TK)과 충청이 각 3명, 호남이 1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11명의 평균 연령은 57세였으며, 여성은 한 명도 없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