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북미회담 개최지 발표에 ‘성공기원’…방점은 제각각

여야, 북미회담 개최지 발표에 ‘성공기원’…방점은 제각각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2-09 17:33
업데이트 2019-02-09 17: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 “실질적 성과 기대 높아”…한국 “北 비핵화 로드맵 도출돼야” 바른미래 “北, 베트남 개혁개방 노선 따라야”

여야는 9일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장소가 베트남 하노이로 발표되자 일제히 회담 성공을 기원했으나, 저마다 다른 곳에 방점을 찍어 눈길을 끌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날짜에 이어 장소까지 하노이로 확정됐고, 실무회담까지 성공적으로 마친 2차 북미정상회담에 기대가 매우 높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평양에서 있었던 2박 3일간의 실무협상은 북미정상회담에서 실질적 성과를 낼 것이라는 그동안의 기대를 한껏 드높였다”며 “자유한국당도 시대착오적 반북 대결주의에서 벗어나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위해 힘을 보태는 동반자가 되어주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국당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회담 장소가 북한이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진 하노이로 결정되면서 북한의 비핵화 성과 도출이라는 유의미한 업적이 절실한 미국이 북한에 양보해준 것이란 평가”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북한 비핵화 로드맵이 도출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은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을 모두 잃을 수 있다”며 “정부·여당이 우리의 확고한 북한 비핵화 의지를 미국과 국제사회에 적극 알리고 이를 관철하기 위해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바른미래당 김삼화 수석대변인은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고 베트남의 개혁개방 노선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그 수도인 하노이에서의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는 의미가 크다”고 논평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미국은 베트남이 걸었던 경제성장의 길을 북한이 따라갈 수 있도록 상응조치를 해야 한다”며 “북한도 개혁개방이 경제성장은 물론 평화보장과 체제안정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