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라데이지호 파편주변서 뼈 발견…선원 유해일 가능성

스텔라데이지호 파편주변서 뼈 발견…선원 유해일 가능성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2-21 13:45
업데이트 2019-02-21 16: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업복 추정 오렌지색 물체도 발견…외교부 “향후 처리방향 검토에 최선”

스텔라데이지호 [연합뉴스 자료사진]
스텔라데이지호
[연합뉴스 자료사진]
2년 전 남대서양에서 침몰한 한국 화물선 스텔라데이지호(마셜제도 선적<船籍>)의 파편 주변에서 사람의 뼈로 보이는 유해가 발견됐다.

외교부는 21일 “‘오션 인피니티’사의 심해수색 선박인 ‘씨베드 컨스트럭터’호는 지난 14일(이하 현지시간)경 스텔라데이지호 사고 해역에 도착한 후 심해수색 작업을 수행해 왔다”며 “20일 선체 파편물 주변 해저에서 사람의 뼈로 보이는 유해의 일부와 작업복으로 보이는 오렌지색 물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해저 1km 반경 안에 스텔라데이지호 선체의 잔해가 모여 있는데 거기서 뼈와 작업복으로 보이는 것들이 발견됐다”며 “스텔라데이지호 선원의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그렇게 추정된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이어 “정부는 향후 처리 방향에 대해 최선을 다해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말 스텔라데이지호에 대한 심해수색을 위해 미국 오션 인피니티사를 용역업체로 선정, 48억4천만원에 심해수색 프로젝트를 맡겼다.

이후 이 업체의 씨베드 컨스트럭터호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지난 8일 출항, 14일 사고 해역에 도착한 뒤 자율무인잠수정(AUV)을 투입해 수색에 착수했다.
이미지 확대
심해 수색 선박인 미국 ‘오션 인피니티’사의 시베드 컨스트럭터호가 지난 17일 2년 전 침몰한 스텔라데이지호 사고 해역에서 원격제어 무인잠수정을 통해 스텔라데이지호의 선체 일부인 선교를 발견하고 인근 해저면에 떨어져 있던 항해기록저장장치(VDR)를 회수했다. 사진 가운데 노란색 장치가 VDR이다.  해양수산부 제공
심해 수색 선박인 미국 ‘오션 인피니티’사의 시베드 컨스트럭터호가 지난 17일 2년 전 침몰한 스텔라데이지호 사고 해역에서 원격제어 무인잠수정을 통해 스텔라데이지호의 선체 일부인 선교를 발견하고 인근 해저면에 떨어져 있던 항해기록저장장치(VDR)를 회수했다. 사진 가운데 노란색 장치가 VDR이다.
해양수산부 제공
작업을 통해 업체는 17일에는 선체 일부인 선교를 발견하고 인근 해저면에 이탈해있던 일종의 ‘블랙박스’인 항해기록저장장치(VDR)를 회수했다. 당시 회수 해역은 케이프타운에서 서쪽으로 약 1천860 노티컬마일 정도 떨어진 곳으로, 수심은 3천461m였다.

이후 씨베드 컨스트럭터호는 스텔라데이지호 본체와 미확인 구명벌 등을 발견하기 위한 수색 작업을 지속 진행해왔다.

선박은 이달 말 승무원 교체 등을 위해 몬테비데오에 기항할 예정이다. 이후 다시 사고해역으로 이동해 2차 심해수색(15일 안팎 소요 전망)을 실시할 계획이다.

스텔라데이지호는 2017년 3월 브라질에서 철광석 26만t을 싣고 출발해 중국으로 항해하던 중 남대서양에서 침몰했다. 당시 필리핀 선원 2명이 구조됐지만, 한국인 8명을 포함한 22명이 실종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