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진, 유시민 향해 “상당히 뒤끝 있다”…‘조국 파열음’ 계속

박용진, 유시민 향해 “상당히 뒤끝 있다”…‘조국 파열음’ 계속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19-09-16 16:23
업데이트 2019-09-16 1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연합뉴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연합뉴스
‘서울대 마스크 시위’ 논란 이어 재차 공방
유시민 “박 의원, 이미지 개선하려 한 것”
박용진 “이미지 개선할 거면 쓴소리 안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국 법무부 장관을 비판하며 촛불집회에 나섰던 서울대생의 ‘마스크 집회’를 놓고 논쟁을 벌였던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대해 “상당히 뒤끝이 있다”고 말했다.

박용진 의원은 16일 채널A ‘돌직구쇼’에 출연해 “꽤 지난 일인데 굳이 저기 나가서 뒤끝작렬 발언을 하시고, 또 보면 척척박사이시다. 토론하는 방법, 국회의원의 태도에 대해 친절하게 지적해주신다”고 꼬집으며 이렇게 말했다.

유시민 이사장은 앞서 지난달 29일 “서울대 촛불집회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마스크를 안 쓰고 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촛불집회 뒤에 자유한국당 패거리의 손길이 아른아른하다. 의사표현 할 수 있다. 못 하게 막고 있나? 문제 제기를 막고 있나?”라면서 “불이익이 우려될 때 익명으로 신분을 감추고 투쟁한다. 그런데 조국 욕한다고 해서, 대통령 비난한다고 해서 누가 불이익을 주나. 왜 마스크를 쓰고 하냐”고 지적했다.

당시 박용진 의원은 박근혜 정부 당시 민주당이 반대했던 ‘복면시위 금지법’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이 그대로라면서 “유시민 이사장은 민주당원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

이에 유시민 이사장은 지난 13일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서 박용진 의원을 향해 “‘복면을 안 쓰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는 것과 복면을 쓰면 처벌하는 법을 만드는 것은 차원이 다른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내가 민주당원이 아닌 게 무슨 상관이 있느냐”고 반박하면서 “그런 식으로 토론하면 안 된다. 적당히 좋은 얘기에 자기 이미지를 개선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소속 정당의 입장을 정확히 대변해야 하는 국회의원으로서는 말도 안 되는 공격적인 질문에 제대로 받아쳐야 한다. 제가 그것을 보고 화딱지가 났다”고 말했다.

박용진 의원이 말한 유시민 이사장의 ‘뒤끝’은 이 발언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박용진 의원은 “오늘은 제가 한 템포 참겠다. 추석 민심을 보니 지금은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는 쪽으로 많이 가신다”면서 “홍준표-민경욱 드잡이 하듯 유시민-박용진이 드잡이를 하면 국민께 좋은 모습이 아니다”고 했다.

이어 “저는 민주당의 당원이고 국회의원으로서 소신을 가지고 할 것은 하겠다. 유시민 이사장과 티격태격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면서 “만약 알릴레오에 불러주시면 제가 거기에 가서 토론의 방법, 국회의원의 태도 등에는 따로 수업을 받겠다”고 말했다.

박용진 의원은 유시민 이사장이 ‘박용진 의원이 이미지를 생각해 적당히 둘러댄 것’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서는 “제가 이미지를 생각했으면 조국 장관이나 유시민 이사장에게 쓴 소리를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적어도 우리 20대 청년들에게 그들이 상심해 있는데 거기에 또 다른 윽박지름, 구박, 훈계가 아니라 그들의 목소리를 묵묵히 들어주는 게 이 시대 어른의 역할, 또 한때 사회적 저항을 했던 어른들의 태도라고 생각한다”면서 “유시민 이사장이 지적한 이미지 개선은 도무지 뭘 말하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