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찰기 연일 한반도 공개 정찰…대북 감시태세 강화

美 정찰기 연일 한반도 공개 정찰…대북 감시태세 강화

최선을 기자
입력 2019-12-24 08:43
업데이트 2019-12-24 08: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 ‘조인트스타즈’ 정찰기 사흘 만에 한반도 출동…대북 감시
미 ‘조인트스타즈’ 정찰기 사흘 만에 한반도 출동…대북 감시 미국 공군의 지상감시정찰기 E-8C 조인트 스타즈(J-STARS)가 사흘 만에 한반도 상공으로 또 출동했다. 2019.12.24 미 공군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미국 공군의 정찰기가 지난 주말부터 잇따라 한반도 상공을 비행하며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북한이 ‘크리스마스 선물’을 언급한 데 대해 대북 감시태세를 강화한 것이다.

24일 민간항공추적 사이트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 공군 리벳 조인트(RC-135W)가 주말부터 이날까지 연일 한반도 상공에서 포착됐다. RC-135W는 한반도 3만 1000피트(9.4㎞) 상공을 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지난 19일부터 연일 정찰기를 한반도 상공에 출격 시켜 대북 감시 비행을 하고 있다. 정찰기의 위치식별 장치를 켠 상태로 감시 비행에 나선 것은 북한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지난 주말과 전날에도 RC-135W가 한반도 상공에서 포착됐다. 미 공군의 주력 통신감청 정찰기 RC-135W는 미사일 발사 전 지상 원격 계측 장비인 텔레메트리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포착하고, 탄두 궤적 등을 분석하는 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이날 미 공군 지상감시정찰기 E-8C 조인트 스타즈(J-STARS)도 지난 21일에 이어 사흘 만에 한반도 2만 9000피트(8.8㎞) 상공에서 포착됐다. E-8C는 폭 44.2m, 길이 46.6m, 높이 12.9m로 순항속도는 마하 0.8이다. 한 번 비행하면 9∼11시간가량 체공할 수 있고, 항속거리는 9270㎞에 이른다.

통합 감시 및 목표공격 레이더 시스템 등을 탑재한 E-8C는 고도 9∼12㎞ 상공에서 북한의 미사일 기지, 야전군의 기동, 해안포 및 장사정포 기지 등 지상 병력과 장비 움직임을 정밀 감시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한미 군은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대북 감시태세를 강화했다”고 전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