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다음 행보는 친문과의 전략적 제휴

이낙연 다음 행보는 친문과의 전략적 제휴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0-04-19 20:48
업데이트 2020-04-20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월 당 대표 도전 땐 대권 겹쳐 더 혼란

원톱으로 野 공세받느니 투톱 유지 무게
임종석 복귀설 선 긋고 “평화 관련 일 계속”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이낙연
발언하는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상임선대위원장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대한민국미래준비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4.16
연합뉴스
4·15 총선에서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를 꺾으며 여권 내 대선주자로 입지를 굳힌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위원장이 2년여 앞으로 다가온 대선을 염두에 두고 나갈 길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거론되는 시나리오는 오는 8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돼 당권을 쥐고 대선을 노리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 코스를 밟았다. 문 대통령은 2015년 2월 당 대표로 선출된 후 총선을 앞둔 2016년 1월 대표직에서 물러나 대권에 도전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가 되기 위해서는 전국적인 지지뿐만 아니라 확실한 당내 세력이 있어야 1차 관문인 경선을 뚫을 수 있다. 지지 기반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이 위원장으로서는 전당대회를 거쳐 자기만의 세력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대통령 선거일 1년 전에 당직을 사퇴하도록 규정된 당헌·당규상 8월에 당 대표가 되더라도 6개월 만에 대표직을 내려놓아야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럴 경우 당은 큰 혼란에 빠지기 쉽다.

이 때문에 최근 힘이 실리는 또 다른 시나리오는 ‘당 대표와의 전략적 제휴’다. 이 위원장이 당 대표가 돼 전면에 나서 야권 공세의 표적이 되지 않고 지금처럼 사실상 민주당의 투톱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시나리오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당내 최대 세력인 친문(친문재인)의 지지를 받고 역할 분담을 고민해야 한다. 당 관계자는 “이 위원장이 대권을 향하려면 친문과 총선에서 약화된 TK(대구·경북)와 PK(부산·울산·경남)의 지지가 모두 필요한데 이를 놓고 향후 행보를 결정할 듯하다”고 말했다.

한편 총선에서 민주당 후보들을 전방위로 지원하며 존재감을 확인한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움직임도 주목받고 있다. 다만 임 전 실장 측은 이번 지원 유세가 정치권 완전 복귀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임 전 실장 측은 통화에서 “지난해 11월 불출마 선언을 하며 밝힌 민간 영역에서 한반도 평화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는 마음엔 변함이 없다. 현재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실제로 관련된 일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20-04-20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