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광주 ‘정율성 공원’, 국민 세금 들여 침략자 기념하나” 맹폭

與 “광주 ‘정율성 공원’, 국민 세금 들여 침략자 기념하나” 맹폭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23-08-23 14:53
업데이트 2023-08-23 14: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율성, ‘팔로군 행진곡’ 작곡 후 중국 귀화
권성동 “6·25 전쟁 때 대한민국의 적”
김웅 “민주화 성지 광주 정신 팔아먹는 것”

이미지 확대
정율성(왼쪽)과 그의 생가. 서울신문 DB·연합뉴스
정율성(왼쪽)과 그의 생가.
서울신문 DB·연합뉴스
여당은 23일 광주광역시의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사업을 비판하며 철회를 촉구했다. 광주 출신의 항일 운동가인 정율성은 1939년 중국 공산당에 가입해 중국 인민해방군의 ‘팔로군 행진곡’을 작곡했고, 중국으로 귀화한 인물이다. 광주시는 연말까지 공원 조성을 완료할 방침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어떤 나라가 국민 세금 48억원을 들여 침략자를 기념하느냐”며 “광주광역시는 정율성 기념공원을 전면 철회하고, 민주당은 입장을 분명하게 밝혀라”라고 비판했다.

권 의원은 “6·25 전쟁 때 정율성은 대한민국의 적이었다. 어떤 미사여구로 치장하더라도, 대한민국을 침략한 인간이라는 것은 변치 않는 사실”이라며 “조국과 고향을 짓밟은 침략의 부역자를 중국인 관광객 유치 아이템으로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용납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웅 의원도 “강기정 광주시장은 정신 차리라”며 “북조선인민공화국도 아니고 한국에서 어떻게 6·25 부역자를 추앙할 수 있나”고 직격했다. 이어 “광주는 민주화의 성지다. 중국 공산당은 천안문 사태와 홍콩 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탄압했다”며 “중국 공산당의 상징을 광주 민주화운동의 성지에서 기리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모독이자 광주 정신을 팔아먹는 것”이라고 했다.

박민식 보훈부 장관도 지난 22일 북한의 애국열사능이라도 만들겠다는 것인가”라고 비판하며 철회를 요구했다.

이민영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