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 개원 1년… 여야 초선의원들 소회

19대 국회 개원 1년… 여야 초선의원들 소회

입력 2013-05-30 00:00
업데이트 2013-05-30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대 국회가 30일로 개원 1년을 맞았다. 헌정 사상 최초로 국회의원 300명 시대를 연 19대 국회는 현역 의원 교체율이 62%로 역대 어느 때보다 물갈이 바람이 거셌다. 초선 의원은 148명으로 49.3%를 차지했다. 지난 1년은 국회 선진화법을 운영한 첫해였다. 전기톱·망치, 소화기 분사 장면은 사라졌지만, 대신 ‘식물국회’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상당하다. 2013년도 예산안은 사상 최초로 새해를 넘겨 처리됐고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국회 제출 52일 만에 통과됐다. 이런 탓인지 의안 통과율은 11%에 불과해 15대 국회 62.9% 이후 최저치였다. 과시용 입법이 그만큼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청운의 꿈을 안고 국회에 입성했던 초선 의원들은 지난 1년간 어떤 꿈을 꾸고 좌절을 맛보았을까.

■강은희 새누리 의원 “경험 적어 현안 대처 미흡 아쉬워”

강은희 의원
강은희 의원
새누리당 비례대표인 강은희 의원은 의원 배지를 달기 전까지 맹렬 여성 정보기술(IT) 기업인이었다. 하지만 냉소의 대상이었던 국회의원이 된 직후 IT·과학기술과 창조경제 정책통으로 변신했다. 지난 대선에선 ‘약속지킴이단’ 일원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민생 공약을 위해 뛰었다. 새누리당 초선 의원 모임인 ‘초정회’ 회원인 그는 최근 원내대변인에 선임되기도 했다.

강 의원은 지난 1년을 “제가 겪었던 ‘여의도 정치 불신’에 대해 되짚어 보는 1년이었다”고 자평했다. “막상 국회에 들어와 보니 의원회관에서 의원들과 마주치는 날이 며칠 안 됐다. 쉴 새 없이 의정활동을 하고 지역구에서 뛰고 있어서 깜짝 놀랐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여의도 정치를 불신하는 것도 제대로 들여다볼 기회가 적어서 그런 것 같다”고 아쉬워했다.

그는 “19대 국회에서 여당이 정책 정당으로 거듭나고 있는 점에 점수를 주고 싶다”면서 “여야 지도부가 자주 만나서 상생·화합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것도 보기 좋다. 국회 선진화도 첫 술에 배부를 수 없다. 지도부부터 초선까지 한발 한발 움직여 가는 것 아니겠나”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초선이다 보니 정부 정책 비판이나 여야 대립에 매몰되다 보면 대안제시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했다.

강 의원은 “법안 하나가 발의되고 통과돼 시행되기까지 만만치가 않더라”면서 “의원 혼자의 힘으로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는 것 같다. 국회에서는 ‘여당 따로, 야당 따로’가 아니라 ‘합심’이 가장 중요하다. 19대 국회에서 이런 바람이 한결같이 지켜졌으면 좋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정호준 민주 의원 “국회 개혁 추진하는 데 한계 느껴”

“국회 개혁을 추진하는 데 한계를 느꼈습니다.”

정호준 민주당 의원
정호준 민주당 의원
정호준(서울 중구) 민주당 의원은 29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19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지난 1년 동안의 소회를 밝히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 의원은 “선거 때는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등 개혁을 약속했지만 국회에 들어와 보니 혼자서는 이를 이룰 수 없다는 것을 절감했다”면서 “정치는 팀플레이이고, 많은 사람들을 설득해야 하는 ‘숫자 게임’이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8선 국회의원을 지낸 고(故) 정일형 박사의 손자이자 5선의 정대철 민주당 상임고문의 아들이다. 정치인 가문에서 자라 어릴 적부터 자연스럽게 정치 감각을 익혔지만, 직접 현실 정치에 뛰어들어 보니 머릿속의 생각과 아주 달랐다는 의미다.

초선 의원으로서의 고민도 컸다. 정 의원은 “국회에서는 다선이 먼저인 문화가 있어서 초선 의원들은 목소리를 내기 힘들었다. 아무래도 당 안에서의 영향력도 다선 의원에 비해 미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1년이 지났으니 이제는 당이 바르게 갈 수 있도록 초선 의원들도 목소리 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지난 원내대표단에 이어 2기째 원내부대표를 맡고 있는 정 의원은 최근 여야 젊은 초선 의원 5명과 함께하는 모임인 ‘함께 여는 미래’를 결성하는 등 보폭을 넓히고 있다. 이 모임을 통해 여야가 공약한 정치개혁 과제를 추진하는 논의를 시작할 계획이다.

정 의원은 “할아버지는 정부수립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다했고, 아버지가 민주화와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루는 데 일조했다면 현재 저에게 주어진 한국 사회의 과제는 양극화 해소와 경제민주화 실현, 한반도의 평화 정착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시대적 사명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3-05-30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