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으로 번진 ‘국방개혁 307’

정치권으로 번진 ‘국방개혁 307’

입력 2011-05-12 00:00
업데이트 2011-05-12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일 오전 11시 15분 민주당 원내대표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진지한 표정으로 두 사람의 얘기를 듣고 있었다. 이한호·이억수 전 공군 참모총장이었다. 이들은 최근 국방부가 발표한 ‘국방개혁 307계획’ 개정 법률안과 전시작전통제권 등 다양한 자료를 내보이며 심각한 표정으로 부당성을 하소연했다. 정부의 국방개혁 307계획 공방이 정치권으로 번진 것이다.

이미지 확대
한·일 6자 수석대표 회담  북핵 6자회담 일본 측 수석대표인 스기야마 신스케(왼쪽)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11일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에서 우리 측 수석대표인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나 북한의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문제와 6자회담 재개 방안 등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한·일 6자 수석대표 회담
북핵 6자회담 일본 측 수석대표인 스기야마 신스케(왼쪽)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11일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에서 우리 측 수석대표인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나 북한의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문제와 6자회담 재개 방안 등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한나라당은 개혁안에 공감하며 연내 처리를 목표로 하는 반면, 민주당은 방법과 시기상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원천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두 공군 전 참모총장이 지적하는 국방개혁 307계획의 부당성이 상당 부분 일리가 있다고 생각해 요구내용을 정책위와 12일 고위정책회의 때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민주당 안규백 의원은 “내년은 한·미·러의 대선이 있고 북한이 강성대국 원년이라며 군사도발이 예상되는 안보 취약시기”라면서 전시작전통제권이 이양되는 2015년 이후 개편을 주장했다.

그러나 국방위원장인 한나라당 원유철 의원은 국방개혁안의 조속한 처리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국가안보와 연계된 군을 경제적 잣대로 보면 곤란하다.”면서 빠른 시일 내 처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1-05-12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