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통일] (17) 렌젤 미클로시 주한 헝가리대사

[나와 통일] (17) 렌젤 미클로시 주한 헝가리대사

입력 2011-05-30 00:00
수정 2011-05-30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北에 ‘대화가 이득’ 깨닫게 해야”

이미지 확대
렌젤 미클로시 주한 헝가리대사
렌젤 미클로시 주한 헝가리대사
1980년대 말 주북한 헝가리 대사관에서 4년간 외교관으로 근무한 적이 있다. 22년 후인 2009년 북한을 다시 방문했을 때 나는 매우 우울했다. 20여년 전과 비교해 북한은 하나도 달라진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평양의 건물들은 페인트칠이 새로 됐거나 리노베이션이 조금 되기는 했지만 전체적인 도시의 모습은 내가 기억하는 1980년대와 거의 비슷했다.

북한 대사를 겸임하고 있기 때문에 1년에 한두 번은 북한에 꼭 가려고 하지만, 북한과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자주 방문하지 않으면 효과적인 대화를 하기가 어려운 것 같다.

나는 남한과 북한이 통일을 할 수 있다고 강하게 믿고 있다. 같은 나라였고, 같은 언어를 쓰는 나라다. 국제사회에서 이제 분단된 나라는 거의 없다. 헝가리도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곳곳에 흩어져 살았었다. 그러나 유럽연합(EU)에 가입하고 나서 국경이 사라지면서 헝가리도 일종의 통일을 이뤘다고 생각한다.

남북한은 반드시 통일이 될 것이다. 문제는 언제, 그리고 어떻게 이뤄지느냐다. 통일은 늦추면 늦출수록 어려워진다. 국민들의 통일에 대한 감성이 사라지면 통일을 힘들게 한다. 남한 정부는 통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여건인지는 한국 정부의 결정에 달려 있다.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은지, 효율적인지는 정부가 가장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공산권 국가로서 헝가리와 북한은 비슷한 면도 있다. 그러나 헝가리와 북한은 역사, 문화, 언어, 지리적 환경이 모두 다 다르다. 공통점보다는 차이점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헝가리의 사례를 통해서 교훈을 얻을 수는 있을 것이다. 헝가리는 일당 정치체제로 중앙정부의 권한이 강했고, 통제된 경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었다. 헝가리에서도 시스템을 바꾸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1956년 헝가리는 국내외적으로 시스템 변화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국내적으로는 화학적 변화를 일으킬 만큼 충분히 준비가 안 돼 있었고, 국외적으로는 소련이 여전히 강력한 힘을 행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헝가리가 혁명을 일으켰을 때 외부의 어떤 지지도 받지 못했고 결국 실패했다. 그리고 동유럽에서 변화가 생겼을 때 그때 비로소 변화하기 시작했다. 변화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이해가 생기고, 소련의 힘도 약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변화가 처음으로 헝가리에서 일어났고, 그 다음 폴란드 등으로 번져나간 것이다.

북한 역시 아직은 국내적으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국외적인 상황은 더 복잡하다. 지정학적 상황, 두 최대 라이벌인 ‘슈퍼 파워(미국·중국)’가 경쟁하고 있다. 대국이 한반도의 운명을 결정하는 상황이다. 그래서 북한은 국내외적 환경이 더 어렵다는 얘기다.

나는 북한의 주민들이 행복했으면 좋겠고 북한이 어엿한 국제사회의 멤버가 됐으면 좋겠다. 국제법을 준수하고, 핵이 없는 나라였으면 좋겠다. 그러나 북한 정부에 어떻게 해야 한다고 직접적으로 조언하지는 않을 것이다.

헝가리 정부와 나는 남북통일을 지지하며 분단된 현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 나는 지난 정부의 햇볕정책도 존중하고 이명박 정부의 원칙 있는 대북정책도 존중하고 지지한다. 그러나 어떤 것이 옳고 그르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국내 정치에 대해 평가하는 것은 내정간섭이다.

할 수 있는 말은 한반도 상황이 진정되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더 이상의 도발과 한반도의 긴장을 원하지 않는다. 긴장은 물리적 충돌을 유발하고, 이는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긴장의 완화와 협력, 대화, 평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북한이 중국과 경제협력을 강화한다면 많은 경제전문가나 기업가들이 북한의 초청을 받아 경제특구 등을 방문할 것이다. 이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북한이 경제 개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협력과 대화가 바로 정보다. 이런 것들이 나라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헝가리는 아주 작은 나라이고 내가 북한을 방문한다고 해서 어떤 변화를 주기도 어렵다. 그러나 작은 생각이나 정보들이 결국은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될 것이고,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믿는다. 나는 진심으로 북한 사회의 변화를 보고 싶다.

정리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1-05-30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