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시 인사이트] 두 외교관의 ‘안타까운 은퇴’

[폴리시 인사이트] 두 외교관의 ‘안타까운 은퇴’

입력 2011-07-13 00:00
업데이트 2011-07-1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30여년간 뛰어난 업무 능력과 리더십으로 후배 외교관들을 이끌어온 박준우(58) 전 주벨기에·유럽연합(EU) 대사와 심윤조(57) 전 주오스트리아 대사가 11일 조용히 은퇴했다. 외무고시 11·12회로 33~34년 동안 외교관으로서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해온 이들의 은퇴는 외교가에 적지 않은 아쉬움을 남겼다.

12일 외교부 청사에서 만난 한 중견 외교관은 “두 분 모두 차관 후보에 올랐을 만큼 훌륭하고 모범적인 외교관 선배들이었다.”며 “이들이 인사나 제도적 문제에 부딪쳐 옷을 벗어야 한다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털어놨다.

박 전 대사와 심 전 대사는 지난 3월 보직을 받지 못한 채 귀국했다. 특히 박 전 대사는 올해 초 외교부 제1차관 물망에 올랐다가 고배를 마시는 바람에 예정된 대사 임기인 3년을 채우지 못하고 서둘러 귀국길에 올랐다.

외교부에서도 첫손 꼽히는 외교관이었던 이들의 거취는 귀국 후에도 상당 기간 동안 설왕설래했으나, 결국 차관급 대우를 받는 14등급 공관장을 끝낸 뒤 4개월 동안 보직을 받지 못하면 자동 퇴직하는 제도를 적용받아 옷을 벗게 됐다. 그러나 이들의 은퇴 사실은 이날 특별히 공개되지 않았다. 외교부가 이달 말‘에나 퇴임식 행사를 갖기 때문이다.

몇 년 전부터 차관 후보에 올랐던 심 전 대사는 재산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이유로, 차관으로 거의 내정됐던 박 전 대사는 2008년 기획조정실장 시절 김정기 전 주상하이 총영사 등 특임공관장 인사를 반대했다는 이유로 정무직에 오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외교가에서는 “능력 있는 고참 외교관들을 키우기 위해 국가가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를 하는데, 이들이 실력을 더 발휘할 수 없게 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박 전 대사는 9월 중순 미국 스탠퍼드대 아태연구센터 방문교수로, 심 전 대사는 다음 달 중순 중국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방문교수로 각각 자리를 옮긴다.

로펌이나 대기업, 지자체 등의 초빙에도 불구하고 전직 외교관으로서 명예롭게 남아 연구하겠다는 것이다. 이들이 1년 후 귀국한 뒤에도 한국 외교의 발전을 위해 더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07-13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