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지났는데 참전국 배려 감사…한국 젊은층 역사 무관심 아쉬워”

“60년 지났는데 참전국 배려 감사…한국 젊은층 역사 무관심 아쉬워”

입력 2012-06-22 00:00
업데이트 2012-06-22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후손 타데세 인터뷰

“60여년이 흘렀지만 아직도 에티오피아 참전 용사를 기억해주는 한국, 감사합니다. 하지만 젊은 사람들이 갈수록 역사에 무관심한 것 같아 아쉽습니다.”

이미지 확대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후손 타델레 타데세가 아버지 웰드마리얀 타데세의 사진을 보여주며 한국에 각별한 정감을 표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후손 타델레 타데세가 아버지 웰드마리얀 타데세의 사진을 보여주며 한국에 각별한 정감을 표하고 있다.


6·25 전쟁에 참여한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아들 타델레 타데세(30)는 이렇게 한국에서의 첫 소감을 밝혔다. 그의 아버지 웰드마리얀 타데세(80)는 에티오피아 왕실 경호대에서 근무하다 1953년에 참전, 시설물 방위 임무를 맡으며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타델레 타데세는 한국외국어대와 국가보훈처, 한국전쟁기념재단이 참전용사 후손들을 대상으로 모집한 장학 과정에 선발돼 올 3월부터 외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장학프로그램에서 등록금과 기숙사비 등을 지원받는 타데세는 휴전 후 60여년이 흐른 지금까지 참전국과의 ‘보훈 외교’에 힘쓰고 있는 한국 정부에 감사를 표했다.

그는 “한국과 에티오피아는 전쟁을 통해 맺어진 특별한 관계”라면서 “참전용사의 후손까지 배려해줘 고맙다.”고 전했다. 다만 “한국의 젊은이들은 6·25 전쟁에 대해 알고 있는 게 거의 없다.”면서 “역사는 우리 삶의 일부인데 왜 그렇게 무관심한지 의아하다.”고 아쉬워했다.

타데세는 에티오피아 아르바민치대학에서 기상학을 전공한 인재. 국내에서 1년간 한국어 연수를 마친 뒤 석사 과정에 진학해 환경과학을 공부할 계획이다. 그는 “사람들도 친절하고, 음식도 입에 잘 맞아 좋다.”면서도 “생활비가 부족해 거의 기숙사에서만 지낸다.”며 고충도 털어놨다. 60여만원으로 한달을 버텨야 하는 그는 어학연수 비자(D-4)를 발급 받아 아르바이트도 할 수 없는 상태다.

글 사진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2012-06-22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