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공동위 2차회의…재가동시점·피해보상 협의

개성공단 공동위 2차회의…재가동시점·피해보상 협의

입력 2013-09-10 00:00
업데이트 2013-09-10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석전 공단 부분 재가동 가능성…오늘부터 南측 인력 현지체류

남북은 10일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제2차 회의를 갖고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 및 발전적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2차회의 대표단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 지원단장(가운데)을 비롯한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2차회의 대표단이 10일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나서며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2차회의 대표단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 지원단장(가운데)을 비롯한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2차회의 대표단이 10일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를 나서며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오전 10시 개성공단에서 시작된 회의에서는 공단 재가동 시점이 구체적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커 협의 결과가 주목된다.

이날 회의에서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제도개선 문제 등에 대한 협의가 순항할 경우 추석 전 개성공단 재가동도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우리측 기반시설 점검팀과 관리인력 30여명이 이날부터 개성공단 현지에 체류를 하면서 재가동을 위한 마지막 시설 점검에 나섰다.

남측 인력의 현지 체류는 지난 5월 3일 우리 인력이 전원 철수한 이후 130일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체류인원은 개성공단 관리위원회와 한국전력, KT, 수자원공사 관계자 등이며, 이들은 전력, 통신, 용수 등 기반시설 상황을 공단 재가동에 앞서 3∼4일 정도 현지에 머물면서 점검할 예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재가동에 대비해서 준비작업이 착착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구체적인 재가동 시점과 관련, “북측이 어떻게 호응해 나오느냐가 중요하다. 상황이 준비되면 가능하다”면서 추석전 일부 재가동도 가능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개성공단 발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에 대한 남북 간 견해차와 관련, “그렇게 크지는 않다”고 전했다.

남북은 이날 회의에서 5개월 넘는 개성공단 가동중단 사태로 고통을 겪고 있는 입주기업들의 피해를 보전하기 위한 북측의 조치도 협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동위 산하의 상설 사무처 구성 운영에 대해서도 최종 조율을 벌였다.

이날 회의 뒤 남북은 합의문 또는 공동발표문 형태로 논의 내용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 우리측 공동위원장인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은 이날 오전 전체회의 모두발언에서 “열심히 하고 (개성공단을) 어디로 발전시켜나가겠다는 것에는 대체로 공감대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기회였다”고 그동안 분과위 회의 결과 등을 평가했다.

김 단장은 “서해 군 통신선이 복구되면서 중요한 숙제들이 하나씩 풀려나가고 오늘부터 기반시설 인원 체류가 시작돼 전력·용수 복구가 진행되고 조만간에 정상적인 기반이 갖춰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개성공단으로 떠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오늘 회의에서는 지난 1차 회의와 4개 분과위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인들이 마음 놓고, 그리고 보다 편리하게 기업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