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수 “전작권 전환 재연기 논의 촉진시킬수 있을것”

김장수 “전작권 전환 재연기 논의 촉진시킬수 있을것”

입력 2013-10-24 00:00
업데이트 2013-10-24 0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미일정 시작…THAAD 도입 검토 “아직은…”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23일(현지시간) 한·미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재연기 문제에 대한 양국간 진전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초청으로 이날 미국을 방문한 김 실장은 워싱턴DC에서 일부 특파원과 만나 전작권 전환 문제와 관련, “그것도 (미국측과) 다 얘기될 것”이라면서 “이미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합의된 게 있으니까 그걸 촉진시킬 수 있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 양국은 이달초 서울에서 열린 제45차 SCM회의에서 기존에 합의된 2015년 12월 전작권 전환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내년 상반기 중 전환 시기를 최종 결론 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특히 미국 내 일각에서 전작권 전환 재연기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있다는 지적에 “그건 긍정도 있고 부정도 있는 요소니까”라면서도 “그렇게 생각하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실장은 최근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미국 미사일방어(MD) 체계 가입 가능성에 대해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와 미국의 MD 체계는 서로 차이가 있다”고 부인했다.

그는 또 미국 MD체계의 핵심 장비인 사드(THAAD·종말단계 중고도 방어체계) 도입 여부에 대해서도 “아직은 검토가 안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으나 “한번 봐야지”라며 여운을 남겼다.

그러면서 한·미 양국 MD 체계의 상호운용성에 대해서는 “그거야 당연히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최근 김관진 국방장관이 “우리는 분명히 미국 MD에 가입하지 않는다”면서 “SM-3(고고도 대공미사일), 사드 구입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것을 확인한 셈이지만 듣기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 가능성을 열어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그는 이밖에 이번 방미 목적에 대해 “여러 현안을 토의하러 왔지만 어떤 합의를 보러 온 것은 아니다”면서 “한·미 양국이 전략적 목표가 다 일치하는 등 공조는 잘 되고 있고, 그걸 심화시키기 위해 왔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오는 24일 워싱턴DC 한국전 기념비를 찾아 헌화, 참배한 뒤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북한·북핵문제를 비롯해 양국 간 주요 외교·안보 사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