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 “한일 갈등, 대화 통한 외교적 해법 모색”

볼턴 “한일 갈등, 대화 통한 외교적 해법 모색”

이재연 기자
이재연, 박기석 기자
입력 2019-07-25 00:04
업데이트 2019-07-25 0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의용·정경두·강경화 잇따라 회동…호르무즈 해협 민간 상선 보호 논의

이미지 확대
정의용·볼턴, 2시간 35분 회동… 뒤엔 거북선 모형
정의용·볼턴, 2시간 35분 회동… 뒤엔 거북선 모형 정의용(오른쪽)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4일 청와대에서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대화하고 있다. 두 사람 뒤편에 거북선 모형이 놓여져 있어 눈길을 끌었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경제침략 상황을 감안해 임진왜란 때 일본에 승전했던 상징물을 청와대가 의도적으로 배치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청와대 제공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24일 일본의 수출 규제로 한일 갈등이 깊어지는 상황과 관련, “외교적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볼턴 보좌관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만나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역내 평화·안정을 위해 한미, 한미일 간 공조와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특히 양측은 “한일 간 추가 상황 악화를 방지하고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데 공감하고 미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포함해 더 긴밀히 소통하기로 했다.

볼턴 보좌관은 “세계 이곳저곳에서 많은 도전이 있지만, 한국과 미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에 강 장관은 “이 지역(한반도)뿐만 아니라 도전과 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호르무즈 해협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도 리더십을 발휘해 주는 데 감사하다”고 했다.

앞서 볼턴 보좌관은 청와대에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만나 “(중러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진입과 관련해) 앞으로 유사한 상황에 대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자”고 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전날 중러의 KADIZ 침범은 볼턴 보좌관의 방한 당일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미일 공조에 대한 견제용 무력시위라는 해석이 제기됐었다. 양측은 2시간 35분간 한일 관계는 물론 북미 비핵화 협상과 방위비 분담금, 호르무즈 해협 민간 상선 보호에 대해 논의했다.

볼턴 보좌관은 정경두 국방부 장관도 만났다. 정 장관은 “한일 안보협력의 지속 유지 필요성에 공감하며, 한일 및 한미일 안보협력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9-07-25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