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로 착오’ 어선 NLL 월선에 해경 손 놓고 군도 늑장 대응

‘항로 착오’ 어선 NLL 월선에 해경 손 놓고 군도 늑장 대응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0-10-19 21:06
업데이트 2020-10-20 0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경, 제지 않고 군에 공조 요청 안 해
외국인 3명 승선… 北 이번엔 무반응

우리 어선이 지난 17일 서해상에서 북방한계선(NLL)을 넘었다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해경은 손을 놓고 있었고 군도 뒤늦게 대응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서해상에서 우리 공무원이 북한군에 의해 사살되는 사건이 벌어져 긴장이 고조된 상황임에도 경계 태세가 느슨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9일 군 당국에 따르면 어물운반선 ‘광성 3호’는 17일 낮 12시 45분쯤 우도 서남쪽 6.5㎞ 해상에서 군에 의해 최초 포착됐다. 광성 3호는 이미 서해 조업한계선(NLL 이남 18.5㎞ 해상)에서 북으로 약 7.4㎞ 지점을 통과해 북상 중이었다.

해경은 조업한계선을 넘은 어선을 제지·차단하거나 군에 즉각 공조 요청을 해야 하나 당시 군은 해경으로부터 통보를 받지 못했다. 군은 낮 12시 54분쯤 레이더와 감시장비로 어선을 재차 포착하고 어선위치발신장치(V-PASS)를 통해 광성 3호인 것을 확인했다. 군은 낮 12시 56분부터 무선망과 어선 공통망을 통해 광성 3호를 50여차례 호출하고 남쪽으로 돌아오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고속정 1척과 대잠고속정(RIB) 2척을 현장에 투입했다. 광성 3호를 최초 포착한 지 11분 만에 이뤄진 첫 조치다.

광성 3호는 군의 호출에 응답하지 않다가 오후 1시쯤 NLL을 넘어갔다. 북으로 약 3.7㎞까지 북상해 10분가량 북측 해역에서 머물다 NLL 남쪽으로 복귀했다.

광성 3호는 군 호출에 의해서가 아닌, 한국인 선장이 모선에서 GPS를 확인하고 선원들에게 연락을 취해 복귀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경 조사 결과 광성 3호에는 베트남인 2명과 중국인 1명 등 외국인 선원만 타고 있었다. 이들은 해경에서 GPS를 볼 줄 모르고 항로를 착오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성 3호는 오후 1시 28분 남측 해역에서 옹진군 소속 관공선과 해군 대잠고속정에 붙잡혀 해경에 인계됐다. 북한은 당시 특별한 동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해경이 광성 3호의 복귀 이후인 오후 2시쯤 NLL 월선과 복귀 사실을 통보했으나 반응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20-10-20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