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년 외길’ 항공기·전투기 엔진 개발 주도

‘44년 외길’ 항공기·전투기 엔진 개발 주도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2-10-13 17:32
업데이트 2022-10-14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미지 확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사업장에서 직원들이 제작된 항공기 엔진을 살펴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사업장에서 직원들이 제작된 항공기 엔진을 살펴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액체 로켓 엔진을 제작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원래 전투기, 헬기, 함정의 엔진 제작을 도맡았던 가스터빈 엔진 전문 기업이다. 1978년 엔진 창정비 사업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9000대 이상의 엔진을 생산했다.

앞서 1980년대에는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의 기술 제휴로 ‘F5’ 제공호용 제트엔진을 만들었다. 이어 ‘KF16’ 전투기의 최종 조립 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F15K’ 전투기, ‘T50’ 고등훈련기 등 공군의 주력 항공기 엔진뿐만 아니라 육군이 운용하는 한국형 헬기 ‘수리온’의 국산화 엔진까지 ‘엔진 외길’을 걸으며 독보적인 위상을 구축했다.

최근에는 한국형 전투기 ‘KF21’의 엔진 통합 개발을 주도적으로 수행해 주요 핵심 부품의 국산화도 추진하고 있다.

한편 미래 전장 환경에서 공중 전력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유·무인 항공 복합체계 관련 기술 개발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정부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무인 항공기용 엔진, 무인 복합형 전투회전익기(UCCR)용 엔진이 대표적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항공기 엔진과 우주 추진 시스템 분야에서 보유한 독보적 기술력으로 국책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자주 국방력을 강화하고 미래 우주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2022-10-14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