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사 무효표 ‘급증’ 왜?

경기지사 무효표 ‘급증’ 왜?

입력 2010-06-03 00:00
업데이트 2010-06-03 05: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일 실시된 6.2지방선거의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무효표가 2006년 제4회 지방선거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3일 경기도선관위의 도지사 선거 개표집계 현황에 따르면 전체 투표수 454만2천130표 가운데 65.7%(369만5천552표)를 개표한 이날 오전 3시 현재 12만5천322표가 무효표로 분류됐다.이는 전체 개표수의 4.15%에 해당한다.

 무효표 비율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올 경기지사 선거의 전체 무효표는 무려 19만여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이같은 무효표 비율은 2006년 5월 실시된 제4회 지방선거 당시의 무효표 비율 1.08%(4만43표)보다 2.8배 높은 것이다.

 더욱이 올 무효표가 19만여표에 이를 경우 이는 2006년 선거 당시의 무효표보다 무려 3.7배 많은 것이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올해 무효표가 이같이 많이 늘어난 이유 가운데 하나로 적지 않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루 앞둔 지난 1일 사퇴한 심상정 후보란에 기표한 것을 꼽았다.

 선관위가 각 투표소마다 심 후보 사퇴 사실을 알리는 공고문을 게시했으나 유권자들이 이를 미처 알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심 후보 사퇴 이전에 실시된 17만9천여명의 부재자 투표에서도 심 후보에게 기표,무효 처리된 표가 많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이날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 캠프에서는 선관위가 투표소마다 심상정 후보의 사퇴 사실을 알리는 공고문을 눈에 잘 띄는 곳에 부착하지 않아 유권자들이 심 후보의 사퇴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했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이번 지방선거가 ‘1인8표제’로 복잡하게 진행된 것도 많은 무효표 발생의 원인중 하나로 꼽았다.

 의정부 개표소의 한 관계자는 “무효표 가운데 기표를 후보자 이름 위에 하는 등 잘 못으로 무효표가 많았다.”고 말한 뒤 “심상정 전 후보에게 기표한 무효표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도 선관위 관계자는 “무효표를 정밀 분석하지 않아 올 선거에서 왜 이렇게 무효표가 많이 늘었는지 아직 알지 못한다.”며 “심상정 전 후보에게 대한 기표도 원인중 하나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화보] 당선자들 환희의 순간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