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6자 재개 모색단계…中과 협의 유익”

위성락 “6자 재개 모색단계…中과 협의 유익”

입력 2010-02-24 00:00
업데이트 2010-02-24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은 24일 중국 측과의 회담에서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고 비핵화를 이행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우리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위성락 본부장은 전날 오후 베이징에 도착,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와 회담한 뒤 이날 한국 특파원단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협의가 어떻게 이어질지는 확실치 않아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회담 재개를 모색하는 단계에서의 논의였다”고 평가했다.

 위 본부장은 전날 우다웨이 대표에 이어 24일에는 장즈쥔(張志軍) 외교부 부부장과 남북관계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소개하면서 “중국 측의 입장을 듣고 6자회담 재개 방안을 논의한 것은 유익했다”고 말했다.

 북한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이달 초 중국을 방문,우다웨이 특별대표와 회담하고 북한의 전제조건 등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밝혔으며 우 대표는 위 본부장에게 북한의 입장을 전달했다.

 김 부상이 중국에 전달한 북한의 입장에는 대북 제재 해제와 평화협정 논의 등 기존의 입장에서 크게 달라진 게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별 변화는 못 느꼈지만 한중 간에 상황을 점검하고 6자회담 재개를 위해 각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토론하는 것은 유익했다”고 말해 북한의 입장에서 미묘한 입장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았다.

 북한은 지난해 핵실험 이후 6자회담은 영원히 끝났다며 탈퇴를 선언한 이후 지난해 후반기부터 점진적으로 유화적 제스처를 취해 오고 있다.

 한국 정부는 작년 중반기와 비교해 최근 북한이 보여온 행보가 6자회담에 근접하는 모습을 보이는 데 주목하면서 중국 측의 적극적인 노력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북한의 이같은 변화 움직임에 대해 외교가에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 문제와 권력승계,경제상황 악화 등 북한의 내부 문제와 함께 중국의 설득 노력 성과,지난해 12월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방북과 오바마 대통령의 친서전달 등 국내외 정세상의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편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성 김 미국 측 수석대표가 이날 오후 늦게 중국에 도착해 우다웨이 대표와 미.중 회담을 갖고 6자회담 재개 문제를 논의한다.

 이어 이날 귀국하는 위성락 본부장은 25일 방한하는 보즈워스 특별대표와 서울에서 만나 한.중,미.중간 협의 결과를 토대로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한.미간 공조방안을 협의한다.

 베이징=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