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軍, 탈북자 잡으면 받는 포상이…

북한軍, 탈북자 잡으면 받는 포상이…

입력 2013-05-30 00:00
업데이트 2013-05-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점점 좁아지는 탈북 루트

북한은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탈북 행렬을 막기 위해 동남아 지역의 이른바 ‘남방탈출로’ 주변국에 집중적인 외교 공세를 펴왔다. 탈북자 9명이 압송된 라오스는 이중에서도 북한이 가장 많은 공을 들인 국가다.

2011년까지만 해도 라오스는 한국과 경제적 협력을, 북한과는 정치적 협력을 동시에 진행하는 등거리 외교를 해 왔다.

그러나 김정은 체제가 정식 출범한 지난해부터 북한과 라오스의 관계는 급진전되기 시작했다. 양국 간 교류가 거의 매달 진행됐고, 북한의 헌법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은 지난해 직접 대표단을 이끌고 라오스를 방문해 교류 계획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해 2월부터 현재까지 쏟아낸 라오스와의 교류·협력 관련 기사만 100여건에 이른다. 다른 국가 관련 기사가 많아야 40~50건인 것에 비하면 압도적인 비중이다. 우리 정부가 손을 놓고 있는 동안 북한은 남방탈출로를 중심으로 촘촘하고 적극적인 외교전을 펼쳐 왔던 것이다. 지난 7년간 라오스가 탈북자 문제와 관련해 우리 측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왔던 점에 비춰볼 때 이번 일은 라오스는 물론 다른 지역국가에서도 유례없는 사건이다. 라오스 정부는 우리 측에 ‘북한이 신병 인도를 적극 제기해와 거부하기가 대단히 어려웠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탈북자 통제 강화는 탈출 통로인 북·중 국경 지대부터 철저하게 이뤄지고 있다.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남궁민 사무차장은 “예전에는 국경 경비대에 돈을 쓰면 탈북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뇌물을 받고도 내보내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탈북자를 3명 이상 체포한 국경 경비대 군인에게는 노동당 입당과 ‘국기훈장 1급’ 등의 포상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