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풍계리 핵실험장에 인적·차량 식별…‘순찰활동’ 가능성

北 풍계리 핵실험장에 인적·차량 식별…‘순찰활동’ 가능성

이주원 기자
입력 2020-01-30 11:44
업데이트 2020-01-30 1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3월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미사일발사장 일대를 촬영한 38노스의 위성 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를 통해 불쑥 2차 북미정상회담 때 미국이 북한의 핵시설 다섯 곳의 해체를 요구했고 북한은 영변과 풍계리 등 기존에 알려진 시설 두 곳만 고집해 결렬됐다고 털어놓아 그 의도를 놓고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 3월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미사일발사장 일대를 촬영한 38노스의 위성 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를 통해 불쑥 2차 북미정상회담 때 미국이 북한의 핵시설 다섯 곳의 해체를 요구했고 북한은 영변과 풍계리 등 기존에 알려진 시설 두 곳만 고집해 결렬됐다고 털어놓아 그 의도를 놓고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사람과 차량의 흔적이 새로 포착됐다. 다만 핵 활동이 아닌 순찰 활동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미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29일(현지시간) 최근 촬영된 상업위성사진에서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덮은 눈 위로 발자국과 차량 흔적이 식별된다고 밝혔다. 인적 및 차량 흔적은 갱도와 지원시설에서 포착됐으며 지휘소로 통하는 길의 눈은 치워진 상태였다.

38노스는 “북한이 다시 (핵실험장을) 운영하려 한다는 걸 시사하는 굴착이나 건설 등의 재개 징후는 없다”면서 “대신 보안 순찰과 관련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38노스는 2006년 북한의 첫 핵실험이 이뤄진 후 사실상 버려진 상태였던 동쪽 갱도로 이어지는 길에도 발자국이 보였다면서 인근에서 이런 활동의 흔적이 발견되는 것이 매우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왜 이 지역에 인적이 나타난 것인지 불분명하나 이 역시 일상적 보안 순찰의 일환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풍계리 핵실험장은 북한이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직전인 5월 폐기한 곳이다.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중단을 미국에 약속했던 북한은 북미협상에서 성과가 나지 않자 새해 들어 약속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지난 29일에는 이 일대에서 지진이 발생해 북한의 핵실험 논란이 일었다. 또 방사선 물질을 탐지하는 미군의 정찰자산도 한반도 인근 상공에 연이어 나타나면서 북한의 핵 활동이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돼 왔다.

다만 기상청에 따르면 자연지진으로 분석됐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미 6차례의 핵실험을 한 만큼 대미압박 카드로 풍계리 핵실험장을 택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38노스는 또 상업위성사진에 근거해 동창리 미사일발사장으로 불리는 서해위성발사장에서도 로켓 발사나 엔진 시험을 준비하는 신호가 보이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