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공개] “할 말 없다” 노코멘트… 파장에 촉각

[‘2007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공개] “할 말 없다” 노코멘트… 파장에 촉각

입력 2013-06-25 00:00
업데이트 2013-06-25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와대 반응

국가정보원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공개에 대해 청와대는 24일 극도로 말을 아꼈다.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은 채 이번 공개가 몰고올 파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웠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의) 입장 표명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도 “할 말이 없다. 노코멘트”라고 선을 그었다. 사실상 여야 정치권의 후속 대응을 신중하게 지켜보겠다는 태도로 풀이된다. 청와대가 섣불리 나설 경우 오히려 정치권의 논란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자칫 청와대가 회의록 공개 과정에 사전 개입했다거나, 회의록 공개 이후 정치권에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처럼 비쳐질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하는 모습이다. 국정원의 회의록 공개 직전 박근혜 대통령이 이정현 홍보수석을 통해 “그것(절차)은 국회가 논의해서 할 일”이라고 언급한 것의 연장선으로도 볼 수 있다.

박 대통령이 국정원의 선거 개입 의혹에 대해 그동안의 침묵을 깨고 말문을 열었지만, 정치 쟁점에 대해 시시콜콜 입장을 밝힐 경우 ‘정치 개입’이라는 새로운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대신 언론 등을 통해 회의록 내용이 속속 공개됨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고 여론 흐름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앞으로 국정원 관련 논란의 단초가 된 과거 정부와 현 정부가 다르다는 점은 물론 논란을 둘러싼 실체적 진실과 정치적 공방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6-25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