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약없이 미뤄지는 문대통령 개원연설 “8번 썼다 지웠다”

기약없이 미뤄지는 문대통령 개원연설 “8번 썼다 지웠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7-01 16:43
업데이트 2020-07-01 1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민석 靑 대변인, 국회 개원 우회 촉구

“30분 이상에 해당하는 긴 연설문 준비”
“코로나 극복, 한국판 뉴딜 구상 등 담아”
강기정 “개원연설 물을 때마다 한숨 쉰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 연합뉴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 연합뉴스
여야의 대치로 21대 국회 개원식이 열리지 못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개원연설도 기약없이 미뤄지고 있다. 청와대는 “정성껏 준비한 연설문이 구문이 됐다”며 우회적으로 국회 개원을 촉구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5일 개원연설을 할 수 있으리라 보고 긴 연설문을 준비했다”며 “그러나 개원식 지체 탓에 구문이 됐다”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은 지난 주말도 반납하고 연설문 작성에 몰두했음에도 개원식은 또 무산됐다”며 “이제까지 세 차례 전면 개작을 했고, 크고 작은 수정작업을 포함하면 여덟 차례나 연설문을 고쳐 썼다”고 전했다.

강 대변인은 “연설문에는 코로나 국난극복 의지, 한국판 뉴딜 구상 등이 담겼다”며 “국무회의나 수석·보좌관 회의 발언 분량을 뛰어넘는, 30분 이상에 해당하는 긴 연설문”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연설문 내용대로 국민의 삶을 보듬는 데 주력하겠으나, 다만 심혈을 기울인 연설문은 사장될 위기”라며 “대통령이 개원을 축하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강기정 정무수석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미증유의 위기 속에 국민의 여망을 하루라도 빨리 전하면 좋으련만, 개원식이 한달 째 열릴 기미가 없다”며 “사람들이 개원연설에 관해 물을 때마다 한숨을 쉰다”고 말했다. 강 수석은 “역대 가장 많이 지연된 개원연설은 18대 국회(7월 11일) 때였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