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생존자 증언] “패잔병도 아닌데…” 시민들 환자복 회견 비난

[천안함 생존자 증언] “패잔병도 아닌데…” 시민들 환자복 회견 비난

입력 2010-04-08 00:00
업데이트 2010-04-08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자회견에서는 사고 당시 상황 및 사고원인에 대해 구체적인 증언이 나오지 않았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군 장성과 부대 지휘관들이 자리한 경직된 분위기에서 증언을 제대로 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회견장에는 국방부 관계자와 군 합동조사단 장성들까지 배석했다.

특히 같은 장소에서 민·군 합동조사단이 조사 결과 발표를 마친 뒤 곧바로 기자회견이 이뤄지면서 생존 승조원들이 진솔한 답변을 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기자회견을 지켜 본 시민들과 네티즌들 사이에는 생존자들이 대부분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을 두고 “입을 맞춘 것 아니냐.”“시나리오가 있는 것 같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천안함 승조원들이 환자복을 입고 나온 것을 두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동정심을 유발하기 위해 군이 일부러 연출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네티즌들은 “패잔병도 아닌데 왜 멀쩡한 군복을 두고 환자복을 입고 나오느냐.”고 군을 비판했다.

기자회견은 사고 관련 각종 추측과 의혹이 난무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조치였다. 군은 생존자들이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면서 국군수도병원에 격리해 치료해 왔다. 가족들을 제외하고 외부인과의 접촉을 제한하면서 ‘군이 의도적으로 생존자들의 증언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2010-04-08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