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인양 이후] 끝내 못찾은 아들·남편… 망연자실

[천안함 인양 이후] 끝내 못찾은 아들·남편… 망연자실

입력 2010-04-26 00:00
업데이트 2010-04-26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화자 6명 가족 ‘더 큰 슬픔’

‘결국 바다에 간 남편, 아들은 돌아오지 않았다.’

천안함 실종 장병에 대한 수색작업이 사실상 마무리되자 시신을 끝내 찾지 못한 산화 장병 6명의 가족들은 망연자실한 모습이다. 24일 오전 박성균 하사의 시신이 발견될 때까지만 해도 가족들은 한가닥 희망을 놓지 않았다.

하지만 25일까지 이어진 함수 부분에 대한 수색작업에서도 별다른 성과가 나오지 않자 침통한 마음을 숨기지 못했다. 앞서 천안함전사자가족협의회 측은 함수 수색작업에서 성과가 없을 경우 실종자를 산화자로 처리해 장례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때문에 산화자 가족들에게는 이날의 수색작업이 마지막 기회였다.

산화자 중 이창기 원사는 천안함 부사관들의 아버지 같은 존재였다. 최한권 상사는 전기 직별 과정을 1등으로 수료하는 등 늘 최선을 다해 후배들이 가장 닮고 싶은 선배로 꼽혔다. 박경수 중사는 2002년 제2연평해전 당시 총탄을 맞고도 전투에 임했던 참군인이었다.

미니 홈피에 “기다려라, 다시 돌아온다”는 대문 글을 올려놨던 장진선 하사, 홍익대 조선해양공학과를 진학한 데 이어 해군에 지원할 정도로 배를 좋아했던 강태민 일병, 사고 보름 전 100일 휴가를 나와 부모에게 그동안 모은 월급을 드렸다는 정태준 이병 등도 끝내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장 하사의 아버지는 “끝났어요. 이제….”라며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박 중사의 사촌형 경식(36)씨는 “군인으로 살았으니까 군인으로 명예롭게 갔으면 하는 마음에 꼭 찾았으면 했는데 못 찾았다.”면서 “나중에 조사 과정에서라도 찾으면 가족끼리 따로 장례를 치를 생각”이라며 한가닥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이날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 합동분향소를 찾은 김성찬 해군 참모총장은 산화자 가족들과 일일이 악수하며 “가족들 볼 면목이 없다. 몸이라도 찾아왔어야 하는데 죄송하다.”며 위로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0-04-26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