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둔덕기성 사적지정 예고

거제 둔덕기성 사적지정 예고

입력 2010-04-27 00:00
업데이트 2010-04-2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 거제시 둔덕면에 있는 ‘거제 둔덕기성(屯德岐城)’이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예고됐다고 문화재청이 26일 밝혔다. 거제도 서쪽에 위치한 이 성은 7세기 신라시대의 성을 쌓는 기법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성벽은 삼국시대에 처음 쌓고 고려시대에 고쳐 쌓아 축성법 변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도 가치가 크다는 설명이다.
이미지 확대
26일 사적으로 지정예고된 둔덕기성(屯德岐城) 동문 터의 외벽 모습. 아랫부분은 삼국시대에, 윗부분은 고려시대에 다시 쌓은 것이다. 문화재청 제공
26일 사적으로 지정예고된 둔덕기성(屯德岐城) 동문 터의 외벽 모습. 아랫부분은 삼국시대에, 윗부분은 고려시대에 다시 쌓은 것이다.
문화재청 제공


동문(東門) 터가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凹’자 형의 ‘현문식(懸門式)’ 구조라는 점도 특징이다. 이곳에서 나온 인화문(印花紋·도장무늬) 토기와 ‘상사리(裳四里)’라고 새겨진 기와, 청자 접시 등의 유물을 보면 이 성이 신라 문무왕 때 설치된 행정도시인 상군(裳郡)이자 경덕왕 때 거제군의 치소성(治所城·지금의 군청 소재지)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사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문헌에는 고려 의종(毅宗)이 이곳에 3년간 유배됐고, 조선 초에는 고려 왕족들의 유배지로도 사용됐다고 씌여져 있다. 당초 이 성은 의종이 거제도로 유배되고 나서 지어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1999년 이후 수차례의 지표조사와 시굴·발굴조사, 학술세미나 등을 통해 신라시대에 처음 쌓은 것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흔히 폐왕성(廢王城)으로 불리는데 이 명칭은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통영군지’(1934)에 처음 언급됐고, 더 오래된 문헌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둔덕기성이라고 기록돼 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4-27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