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강화 상인 “재난지역 선포해 주세요”

‘구제역’ 강화 상인 “재난지역 선포해 주세요”

입력 2010-04-29 00:00
업데이트 2010-04-29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제역 발생 후 관광객 감소로 매출에 타격을 입은 인천 강화군의 상가와 숙박업소 등 관광업 관련 단체들이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피해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나섰다.

 29일 강화군과 지역 상인들에 따르면 식당과 숙박업소,사찰,인삼조합 등의 대표자들은 최근 ‘구제역 발생 관광업 피해보상 대책위원회’를 구성,지난 27일 군청을 항의방문했다.

 대책위는 이 자리에서 구제역으로 20여일 넘게 피해를 보고 있는 강화지역을 재난지역으로 선포해줄 것과 매출 감소를 보완할 수 있는 세제 지원 등을 요구했다.

 또 구제역 발생지 방문 자제를 요청하는 방역 당국의 홍보를 자제하고 정부에서 나서 강화의 주요 관광지를 홍보해줄 것 등도 요청했다.

 대책위의 대표를 맡은 하재동(47.음식업)씨는 “관광업에 관련된 단체들이 구제역 때문에 평소 매출 대비 80%가 감소하는 등 간접적인 피해를 보고 있다”며 “구제역이 종결됐을 때 군청의 사후 계획이 있는지 등 우리의 입장을 밝히려고 대책위를 만들었다”라고 말했다.

 하씨는 “구제역 피해 농가는 100% 보상에 생계비도 지원해준다는데 상인들의 피해 보상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며 “우리들의 입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서명운동을 하거나 상급기관에 진정서를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 군에 따르면 최근 군이 직영하는 광성보나 역사관,마니산 등 주요 관광지를 찾은 사람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최대 90%까지 감소했다.

 진달래로 유명한 강화군의 대표 명소인 고려산에도 현재까지 6만1천명이 찾는데 그쳤다.작년에 35만명이 진달래를 보려고 고려산을 다녀간 것과 비교하면 방문객은 거의 6분의 1수준으로 줄었다.

 군 관계자는 “강화도는 관광객 때문에 먹고 사는데 현재 대부분의 숙박업소나 식당의 예약이 취소돼서 지역 경제가 말이 아니다”며 “대책위의 건의 사항에 대한 처리 방안을 부서별로 취합한 뒤 중앙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