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관들 밥값은 누가 낼까

외교관들 밥값은 누가 낼까

입력 2010-07-03 00:00
업데이트 2010-07-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쉬운 소리해야 하는 대사관이 지불

#문제1=주미 한국대사관 외교관이 미 국무부 관리와 식사를 했다. 밥값은 누가 낼까.

#문제2=주한 미 대사관 외교관이 한국 외교통상부 관리와 식사를 했다. 밥값은 누가 낼까.

정답은 두 문제 다 ‘한국 외교관’이다.

외교관끼리 밥을 먹으면 보통 대사관 쪽에서 내는 게 ‘철칙’이다. 아무래도 주재국 정부에 아쉬운 소리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주재국 정부가 갑(甲), 대사관 쪽이 을(乙)인 셈이다. 예컨대 주한 일본 대사관 외교관과 한국 외교부 직원이 밥을 먹으면 일본 외교관이, 반대로 도쿄에서 주일 한국 대사관 외교관이 일본 외무성 직원과 식사를 하면 한국 외교관이 밥값을 낸다. 주재국 정부의 차관급 이상은 주로 대사관저로 초청하고, 그 아래 직급은 외부 식당에서 대접하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미국은 예외다. ‘슈퍼 파워’답게 본국에서든, 주재국에서든 갑의 대접을 받는다. 미국으로부터 얻어야 할 정보가 많고 미국에 아쉬운 소리를 해야 하는 경우도 다반사이기 때문에 미국 외교관은 각 나라로부터 밥 먹자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 식사 제의를 먼저 하는 쪽에서 지갑을 여는 것은 당연하다. 다른 이유도 꼽힌다. 미국 외교관은 판공비가 다른 나라 외교관에 비해 빈약한 편이어서 밥을 잘 사지 않는 측면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미국도 중국에서는 우리 외교관한테 밥을 산다. 주중 미국 대사관 관계자와 주중 한국 대사관 관계자가 밥을 먹으면 미국 쪽에서 지갑을 꺼낸다. 우리가 특별히 미국보다 정보가 많아서라기보다는 정서상 중국의 화법과 심중을 더 잘 이해하기 때문에 한국의 분석을 듣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심지어 일본 외교관도 우리한테 만나자고 먼저 제의한다고 한다.

예외는 또 있다. 서울에 주재하는 아프리카 등의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나라 외교관들에게는 갑의 위치에 있는 한국 외교부 관리들이 밥을 산다. 남자 외교관과 여자 외교관이 밥을 먹는 경우 역시 갑·을 관계가 엄밀히 적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주로 남자 외교관이 밥값을 낸다.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갑·을 관계가 분명치 않은 외교관끼리는 초대한 쪽에서 먼저 밥을 사면 나중에 상대편이 답례로 식사대접을 하는 게 보통이다. 재미있는 것은 ‘더치페이(ducth pay)’의 본산지인 네덜란드 외교관들도 더치페이는 잘 안 한다고 한다. 그들도 일반적인 외교가의 ‘밥 사기’ 관행을 따른다는 것이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2010-07-03 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