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뚫렸다’ …강원 구정 구제역 ‘양성’

‘영동 뚫렸다’ …강원 구정 구제역 ‘양성’

입력 2011-01-02 00:00
업데이트 2011-01-02 1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원 횡성지역에 백신 예방접종이 시행 중인 가운데 2일 영동지역 구정에서도 구제역이 발생,방역망이 뚫리면서 지역의 ‘한우령’ 한우 브랜드가 타격을 받게 됐다.

 강원도는 지난 1일 구정면 어단리 한우농가 59마리 중 2마리가 구제역 의심증상을 보여 정밀검사를 한 결과 이날 양성 판정이 났다고 밝혔다.

 방역 당국은 농가 반경 500m 우제류에 대한 살처분과 함께 방역대를 설정하고 통제에 들어갔다.

 동해안 6개 시군의 한우 브랜드인 ‘한우령’을 지키려고 그동안 차단 방역에 온 힘을 기울였던 방역활동이 수포가 되어 동해안 지역마저 걷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지난 1일 접경지역인 양구에서 첫 구제역이 발생하고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 한우농가 96마리 중 1마리에 대한 의심 신고가 잇따르는 등 도내 전역으로 확산해 영동과 영서 9개 시군 15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

 도는 이에 따라 245곳에서 이동통제초소를 운영하면서 위험·경계지역 내의 축산농가와 시설에 대한 특별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지역 간,마을 간,농장 간 차단 방역에 주력하고 있다.

 또 지난해 12월 31일부터 횡성지역에서 시행 중인 백신 예방접종을 오는 3일까지 위험지역(3㎞),5일까지 경계지역(10㎞) 내의 우제류를 대상으로 모두 마치고 30일이 지난 후 2차 접종에 나설 계획이다.

 도는 현재 44개반 132명을 투입해 백신 접종 대상 3만8천여마리 중 11.5%인 4천400여마리에 대해 접종을 마쳤다.

 접종 가축은 방역관이 2주 1회 임상관찰을 시행하는 등 철저히 관리하며,접종 후 14일이 지나 임상검사·혈청검사를 실시해 이상이 없으면 지정 도축장으로 출하할 수 있고 1개월이 지나 문제가 없으면 이동제한이 해제된다.

 이와 함께 도는 살처분 대상 150농가 2만6천438마리 가운데 51.9%인 132농가 1만3천730마리를 살처분 했다.

 이밖에 조류인플루엔자(AI)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도내 주요 철새 도래지인 철원 평야,강릉 경포호,속초 청초호,춘천 온수지 등과 과거 AI가 발생했던 농장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분변 및 바이러스 검사를 강화했다.

 강원도 관계자는 “그동안 구제역 청정지대였던 영동지역에서도 구제역이 발생,도 전역으로 확산이 우려된다”며 “개별 농가 소독을 강화하는 등 차단 방역에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