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한우 출하 올스톱

횡성한우 출하 올스톱

입력 2011-01-13 00:00
업데이트 2011-01-13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제역이 명품 ‘횡성한우’ 도축장과 축산기술연구소까지 덮쳤다. 강력한 방역조치를 실시한 곳까지 구제역에 감염됨으로써 한우 생산 기반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강원도는 설 명절을 앞두고 한우 고기를 차질없이 공급하려던 횡성한우도축장에서 구제역이 발생, 지난 11일 공식 출하 하루 만에 한우 공급을 중단했다고 12일 밝혔다. 횡성 한우만을 도축해 오다 최초 구제역 발생과 함께 자동폐쇄됐던 횡성도축장(원창기업)은 엄격한 준비를 거쳐 지난 10일 도축을 재개했지만 결국 다시 폐쇄된 것이다.

횡성도축장은 당초 횡성 지역 구제역 발생 10㎞ 이내에 들어 자동으로 도축을 하지 못하다 설 대목을 앞둔 축산 농가들의 출하 요구에 따라 구제역 발생 10㎞(관리지역) 밖인 둔내면과 강림면, 안흥면 등 일부 지역의 한우를 대상으로 출하를 시작했다.

하지만 겨우 반입된 한우 가운데 구제역에 걸린 소가 발견되면서 충격에 빠졌다. 이에 따라 이동 제한에 걸린 횡성 한우는 상당한 기간 동안 도축이 전면 금지되면서 시장 출하가 어렵게 됐다.

구제역 발생으로 도축장에 대한 소독을 완벽하게 끝냈다고는 하지만 도축장에서 일하는 종사 인력의 격리 등을 감안하면 세 번째 개장까지 최소한 1주일 이상 걸릴 예정이다.

아울러 경북 영주시 안정면 축산기술연구소에서는 관리 중인 암컷 재래종 칡소 한 마리가 구제역 의심 증세를 보여 방역당국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지난 5일 구제역 양성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경북도와 축산기술연구소는 이런 사실을 농림수산식품부에 보고조차 하지 않고 고의로 숨겼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연구소가 구제역 정밀 검사를 소장 개인의 이름으로 의뢰함으로써 연구소가 일반 농가로 둔갑하는 등 석연치 않은 점이 많기 때문이다.

횡성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11-01-13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