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부, 부산저축銀 ‘해외 비자금’ 수사

중수부, 부산저축銀 ‘해외 비자금’ 수사

입력 2011-05-04 00:00
업데이트 2011-05-04 1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개 위장 SPC 동원, 5천억 불법대출금감원 유착관계·로비 초점

저축은행 불법대출 및 특혜인출 의혹을 수사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는 부산저축은행그룹이 해외 부동산 시행사업에 5천억원대 불법대출을 하면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으로 4일 알려졌다.

또 해외대출이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자체 설립한 10개의 위장 특수목적회사(SPC)를 통해 대부분 캄보디아의 부동산 개발사업에 집중됐음에도 금융당국이 이를 적발하지 못한 것과 관련, 금융감독기관 담당자와의 유착관계나 로비 등 비리가 있었는지도 조사하고 있다.

검찰이 파악한 부산저축은행그룹의 해외사업 투자액은 총 5천230억원으로 이 중 95%인 4천965억원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형태로 캄보디아의 신도시·공항·고속도로 개발사업에 투자됐으나 현재 대부분의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외곽에 추진되는 총 20억달러 규모의 신도시 조성사업인 ‘캄코시티’ 건설을 주도하면서, 법정 투자한도를 피하기 위해 1999년부터 설립한 자본금 1천만원 규모의 위장 SPC를 통해 수백억원씩 투자해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부산저축은행그룹은 2007년 캄보디아 현지에 ‘캄코은행’까지 설립해 운영해왔으며 지분 19%를 보유하고 있다.

위장 SPC 중 하나인 C사는 2004년 9월 설립돼 작년 말까지 1천186억원의 PF 대출이 이뤄졌으나 자금난 등으로 사업이 중단됐으며, F사는 저축은행 부실사태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던 작년 4월 캄보디아 공항건설 사업을 위해 설립돼 425억원을 대출받았으나 부지도 매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통상 저축은행의 PF 대출이 짧은 기간의 ‘브릿지론’ 형태로 이뤄지는 반면 부산저축은행의 해외사업 PF 대출은 기간이 비상식적으로 길어 불법대출 정황을 쉽게 포착할 수 있었음에도 금융감독원 등이 이를 적발하지 못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해외 대출을 포함해 각 사업별 불법대출의 구체적인 경위와 사업승인이나 감독 과정의 불법 행위를 조사하고 있다”며 “관련자나 혐의가 확인되면 추가 기소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 1일 불법대출, 배임, 횡령 등 7조원대 경제 비리를 저지른 혐의로 부산저축은행그룹 박연호(61) 회장을 비롯한 대주주와 주요 임원 10명을 구속 기소하고 11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