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대전으로‥충청권 “아쉽지만 환영”

과학벨트 대전으로‥충청권 “아쉽지만 환영”

입력 2011-05-16 00:00
업데이트 2011-05-16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거점지구 세종시 안됐지만 충청권 입지 다행”

정부가 국제과학베즈니스벨트(과학벨트) 입지를 대전으로 확정하고 충남.충북까지 기능지구로 지정하자 충청권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6일 과학벨트위원회(위원장 이주호 교과부 장관)가 이날 오전 회의를 열어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를 선정하고 이를 뒷받침할 기능지구로 대덕특구와 인접한 충북 청원(오송ㆍ오창), 충남 연기(세종시), 충남 천안을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과학벨트 사수를 위해 충북.충남과 공조체계를 유지해 온 대전시는 정부의 결정을 환영하면서 충청권이 지속적으로 협력을 다져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양승찬 대전시 과학기술특화산업추진본부장은 “대전 대덕특구에 있는 연구시설 인프라가 과학벨트 입지의 최적지라는 것을 정부가 인정해준 것”이라면서 “대전이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세종시와 충북 오송, 충남 천안이 기능지구로 선정된 만큼 충청권에 과학벨트가 조성돼 집중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거점지구인 대전과 기능지구가 들어서는 충남.북이 연계해 긴밀한 협조를 통해 과학벨트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면서 “충청권 3개 시.도의 공조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충청권 다른 지자체들은 세종시가 거점지구에서 탈락한 것에 대해서는 아쉬워하면서도 같은 충청권인 대전에 유치된 데 대해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김기식 충남도 기획관리실장은 “세종시가 거점지구로 선정되지 않은 것은 아쉽지만 정부가 적법한 절차에 따라 과학벨트 입지를 결정한 것을 존중한다”면서 “앞으로도 정부에서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충을 위해 투자하도록 촉구할 것이며 세종시와 과학벨트가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충청권 공조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충북도와 ‘과학벨트 사수 충북지역 민.관.정 공동대책위원회’는 세종시에 과학벨트를 조성한다는 대선 공약이 무산된 데 대해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충청권에 거점지구와 기능지구가 들어서고 충북 오송.오창이 기능지구로 선정된 것은 다행이며 환영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김경용 충북도 경제통상국장은 “신약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시설인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하려는 업체나 연구기관 등이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오송.오창에 들어설 가능성이 커지고 이에 따라 오송.오창산업단지 분양 활성화는 물론 KTX 오송 역세권 개발 호재로도 작용할 것”이라며 말했다.

유한식 연기군수는 “세종시 과학벨트 조성은 세종시가 정상적으로 건설되기 위한 필요 요건이었는데 아쉬움이 있다”면서도 “거점지구를 함께 공조해 온 대전권에 준 것을 부정할 수도 없고, 아쉽지만 기능지구라도 들어서게 돼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최관호 천안시 미래도시개발과장은 “희망했던 거점도시에서는 탈락했지만 기능도시에 선정된 데 대해 아쉽지만 환영한다”면서 “천안은 관련 인프라를 충분히 구축하고 있는 만큼 기능지구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금홍섭 과학벨트 대선공약 이행 범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 사무국장은 “그동안 정부가 충청권 공약을 백지화시키면서 국론.지역분열을 부추긴 측면은 있지만 어쨌든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라는 대선공약이 이행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세종시가 거점지구가 되지 못한 부분은 미흡하지만 전면 수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