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병 사망 사흘만에 또…취침 중 장병 숨져

훈련병 사망 사흘만에 또…취침 중 장병 숨져

입력 2011-05-19 00:00
업데이트 2011-05-19 05: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 당국 ‘돌연사’ 추정…유족 부검 요청

뇌수막염을 앓던 훈련병이 행군 복귀 후 사망한 사건이 일어난 지 사흘만에 현역 장병이 취침 중 의식을 잃고 호흡곤란을 겪다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육군 논산훈련소에서 각개전투 훈련을 받고 있는 훈련병들. 연합뉴스
육군 논산훈련소에서 각개전투 훈련을 받고 있는 훈련병들.
연합뉴스


19일 군 당국 등에 따르면 육군 제7사단 공병대대 2중대 소속 최모 일병은 지난달 27일 오전 4시20분께 ‘쿵’하는 소리에 잠을 깨 주변을 둘러보니 김모(20)일병이 부대 생활관 바닥에 무릎을 꿇고 침대에 엎드려 있었다.

최 일병은 김 일병이 의식을 잃은 채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고 당직사관에게 보고했고 김 일병은 오전 4시40분께 사단 의무대로 후송됐다.

당직 군의관은 기도 삽관과 심폐소생술 등 응급조치를 한 다음 오전 6시께 김 일병을 의무대 구급차 편으로 국군춘천병원으로 옮겼으나 오전 7시45분께 국군춘천병원에서 숨을 거두고 말았다.

군 병원이 추정한 김 일병의 사인은 ‘상세불명의 심장정지’, 흔히 말하는 돌연사다.

유가족은 정확한 사인을 밝혀달라며 부검에 동의했고 부검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국방부에 따르면 김 일병은 키 179㎝, 몸무게 58㎏의 다소 마른 체격으로 입대 후 감기로 진료를 받은 적은 있으나 심장 질환과 관련한 진료를 받은 적은 없었다.

국방부 관계자는 “시신에 외상이나 구타 흔적은 없었다. 해당 부대에 기타 가혹행위도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며 “김 일병이 목숨을 잃은 것은 매우 안타깝지만 부대와 군 병원의 조치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일병이 숨지기 3일 전인 지난달 24일 육군훈련소 30연대 1교육대 4중대 소속 노모(23) 훈련병이 뇌수막염에 의한 패혈증 및 급성호흡곤란으로 숨졌다.

노 훈련병이 숨지기 전 고열로 연대 의무실을 찾았으나 당직 군의관은 퇴근한 뒤였고 의무병이 진통해열제인 타이레놀 2정만 처방한 사실이 알려져 허술한 군 의료체계가 도마 위에 올랐다.

또 노 훈련병이 숨지기 두 달 전에는 같은 소대 소속 정모(21) 훈련병이 중이염을 호소했으나 훈련소 측이 외부진료를 허가하지 않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21사단 소속 오모(22)병장은 결핵을 앓고 있었는데도 군 병원에서 우울증 진단을 받고 방치된 끝에 지난해 말 의식불명 상태에 빠졌다.

허술한 군 의료체계에 대한 외부의 지적이 이어지자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국민에게 죄송스럽다”며 의료체계 개선을 약속했고 김상기 육군참모총장은 야전부대의 의료실태와 환경을 정밀진단하라고 지시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뇌수막염을 앓던 훈련병이 행군 복귀 후 숨진 사건 이후 군도 의료체계 개선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며 “부모가 안심하고 자식을 군에 보낼 수 있도록 문제점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