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서울서 174명 외로운 죽음 ‘고독사’

작년 서울서 174명 외로운 죽음 ‘고독사’

입력 2011-07-13 00:00
업데이트 2011-07-13 05: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구 최다…영등포ㆍ용산ㆍ은평구 순



지난해 서울 전역에서 174명이 숨진 뒤 연고자를 찾지 못했거나 연고자가 시신을 포기하는 등 이른바 고독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13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2010년 서울시 무연고 사망자 연령별 처리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내에서 발생해 무연고 처리된 시신은 174구였다.

서울시내 25개 구 중에서는 중구의 무연고 사망자가 43명(24.7%)으로 가장 많았고, 영등포구가 27명(15.5%)으로 뒤를 따랐다.

이어 용산구 12명(6.8%), 은평구 11명(6.3%), 종로구 10명(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 성북구 등은 무연고 사망자가 1년간 아예 없거나 1명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노인이 전체의 31%로 가장 많았지만 40대와 50대도 각각 27%, 24%로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나이를 가늠할 수 없는 무연고 사망자도 전체의 15%나 됐다.

무연고 사망자는 지병과 노환, 자살 등으로 말미암아 숨졌지만 연락되는 가족이 없거나 있어도 시신 인수를 포기하는 사례를 의미한다.

경찰에서 유족을 찾지 못한 경우 관할 구청이 변사자 공고를 게재하고 한달 간 시신을 보관하지만, 결국 유족이 나타나지 않으면 지자체가 화장 등 장례 절차를 거친 뒤 10년간 봉안한다.

전문가들은 자치구별 무연고 사망자 분포가 이같이 나타난 것은 구별 노숙인 현황과 직결된다며 이들에 대한 응급구조 체계 확충을 주문했다.

주영수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공동대표는 “중구, 영등포구, 용산구 등 무연고 사망자가 많은 자치구는 노숙인 분포와 거의 일치한다”며 “은평구의 경우는 서울특별시립은평병원으로 이송되는 행려병자 비중이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 대표는 “노숙인 쉼터에 등록된 적이 있는 사람 중 연간 300~350명이 숨진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며 “이들이 외롭게 거리에서 죽어가지 않도록 노숙인들이 산재한 곳을 관리할 수 있는 ‘24시간 방문형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