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농업발전 교과서”

“한국은 농업발전 교과서”

입력 2011-07-23 00:00
업데이트 2011-07-23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농업개발기금 총재 카나요 은완제

“한국은 농업발전의 교과서로 불릴 만합니다.”

카나요 은완제(65)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총재는 22일 농림수산식품부 과천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한국은 G20 식량안보위원회의 공동의장국으로서 개발도상국이 배워야 하는 발전모델을 잘 보여줬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국제농업개발기금 총재 카나요 은완제
국제농업개발기금 총재 카나요 은완제
●“세계 빈곤 해소에 다양한 역할을”

그는 이어 “한국은 공공개발기금의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첫번째 나라로서 기아와 빈곤을 단기간에 극복한 경험을 활용해 세계 빈곤해소에도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기대감을 표시했다.은완제 총재는 한국이 세계빈곤 해소를 위해 다양한 역할을 해줄 것을 주문했다. 그는 “한국이 이미 공여금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바가 많지만, 앞으로 아프리카 지역에도 관심을 가져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농촌진흥청이 현재 베트남과 다양한 교류협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한국이 개도국에 다양한 경험을 전수할 수 있도록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IFAD 한국직원 채용 약속

그는 또 IFAD에서 근무하고자 하는 한국직원들의 채용도 고려할 것을 약속했다.

그는 “IFAD에서 3년간 교육을 받으면 다른 국제기구 취업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면서 “한국 직원의 채용에 대해서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은완제 총재는 오전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30분가량 면담을 갖고 한국과 IFAD 간의 협력강화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서 장관과 은완제 총재는 두 기관이 식량안보를 위해 상호 긴밀하게 협력하고, 개도국의 농촌발전을 위해 상호 교류를 늘려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탈리아 로마에 본부를 두고 있는 IFAD는 개발도상국의 농업개발·식량생산 증대를 촉진하고 장기저리 융자나 보조금을 지원하기 위해 1977년 설립된 유엔 산하 전문기구로서 회원국은 166개국이다. 한국은 IFAD 창설회원국으로서 1978년에 가입했으며, 2010년부터 3년간 600만 달러(약 69억원)를 공여하고 있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7-23 2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